일기자료 소개

닫기

박시순일기

박시순(朴始淳: 1848∼1907)이 1879년부터 1905년까지 중앙 및 지방관 재직시절 쓴 관직일기와 공문서 초록집 33책.
번역문 출전: 임실문화원 편, 『국역 구한말 郡守 朴始淳 日記: 운불일기, 민소책, 관지책』, 2017.

목록


순번 자료명 수록시기 책수 비고
1 정원일기(政院日記) 1879∼1880 1승정원 가주서 재직시 일기
2 북정일기(北征日記) 1893∼1894 2홍원 유배시 일기
3 면불일기(沔紱日記) 1894∼1895 1면천 군수 재직시 일기
4 사송록(詞訟錄) 1894∼1895 3면천 군수 재직시 민원과 처분내용을 초록
5 운불일기(雲紱日記) 1895, 1897 2임실 군수 재직시 일기
6 민장철(民狀綴) 1895∼1896 1임실 군수 재직시 소장 모음철
7 민소책(民訴冊) 1895∼1897 13임실 군수 재직시 민원과 처분내용 초록
8 공언청리(公言聽理) 1895∼1896 2임실 군수 재직시 민원과 처분내용 정리
9 관지책(官旨冊) 1896∼1897 2임실 군수 재직시 공문 초록
10 군보(郡報) 1895∼1896 1임실 군수 재직시 군정 관련 보고서류 초록
11 군감(郡甘) 1895∼1896 1임실 군수 재직시 군정 관련 하달문서 정리
12 서불일기(西紱日記) 1904 1장연 군수 재직시 일기
13 박경후(朴慶後)
환해부침(宦海浮沈)
1675∼1705 1박시순 선대 박경후의 사환일기
14 박동익(朴東翼)
양청교우(量晴較雨)
1897 1박시순의 아들 박동익 생활일기

일기 속 한 대목: 한말 수령이 임지로 출발하는 날

맑았다. 사시(巳時)에 영탑사에서 임실 부임지로 출발하였다. 내행(內行)은 여종 2명을 데리고 뒤따랐다. 책실(冊室) 이탄운(李灘雲)과 시종 문흥운(文興雲)이 수행하였다. 면천에 있을 때에 양성한 포군(砲軍) 50명이 경상(境上)에 배행하겠다고 하여 이른 아침에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교체되는 관리의 영군(領軍)이 접경에 나오면 보고 듣는 데 방해가 되지만 마음으로 끝내 지나치기 어려워 억지로 허락했다. 아전 유치헌(兪致憲)의 동생 유치관(兪致寬), 읍한(邑漢) 김옥성(金玉成), 관노(官奴) 등길(等吉) 및 남창(南倉) 사령(使令) 구만호(具萬戶)가 따라 와서 동구에 나와 작은 고개 하나를 넘으니 유학 오복선(吳腹善)이 전별하러 와서 아울러 인척 김동좌(金東佐)의 편지를 전해 주었다.
일해상인(日海上人)이 상경할 것이라고 하면서 박덕유(朴德裕)와 인사하고 헤어졌다. 남산점(南山店)에 이르러 겸인(傔人) 홍태산(洪太山)과 인사하고 헤어지니 슬픈 마음을 금할 수가 없었다. 모든 아전 및 관노와 사령[奴令]들이 모두 슬픔을 머금고 인사하고 헤어졌다. 친구 이종대(李鍾大) 및 삼공형(三公兄)이 뒤를 따랐을 뿐이다.
가게에 이르러 유학 홍관후(洪寬厚)가 전별하러 와서 신장(贐章)을 주니 참으로 고마운 일이다. 덕산(德山) 석교점(石橋店)에 이르러 삼공형 및 포군들이 인사를 하고 갔는데 모두 서운해 하였다. 나도 같은 마음이었다. 친구 이장헌(李章憲)도 여기에서 전별하고 돌아갔다. 오후에 덕산군에 이르러 일행을 숙소[私次]에서 쉬도록 하였다. 곧장 관아로 들어갔는데 고을 사또 친구 조두환(曺斗煥)이 문을 열고 맞이하였다. 인사를 마치고 둘째 아이를 들어오게 해서 대인 동중추(同中樞) 어른을 뵙고 인사를 올렸다. 물러나서 품었던 회포를 풀었다. 사또가 술을 내오도록 하였고 이어서 점심을 내오게 하였다. 밥을 다 먹고 고별했다. 조 사또도 슬퍼하며 보냈다.
인생 헤어지고 만나는 일이 이렇게 많으니 어찌 하겠는가! 어찌 하겠는가! 숙소에서 나와 친구 김종대도 고별하고 전행(餞行)하였다. 50리 되는 곳에 이르니 더욱 감사하고 많이 서운하였다. 일행이 홍주의 교동(校洞)에 이르러 승지 김복한(金福漢)에게 들렀다. 김복한이 술을 내어 오게 해서 권하기에 잠깐 회포를 풀고 바로 헤어졌다. 드디어 홍주 감영 성내에 이르러 선달(先達) 이관실(李觀實)의 집에 숙소를 정하였다. 이때 관찰사 이승우(李勝宇) 어른이 마침 출타하여 끝내 얼굴을 뵙지 못하였으니 슬프고 한탄스럽다. 그대로 머물렀다. 오늘 60리를 걸었다. (고종 32년 7월 21일)
※ 『국역 구한말 군수 박시순 일기』(임실문화원 편, 2017) 22∼23쪽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