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왕실문예 해제

왕실문예 해제 (114)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해제
41 어제금일정중성태강(갱진병)(御製今日庭中誠太康(賡進幷))

영조(1694~1776)의 어제시에 영중추부사 金相福(1714~1782) 등이 갱진한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2종의 어제시와 그에 대한 갱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영조의 7언시에 김상복 등 30인이

42 어제금일차당(갱진병)(御製今日此堂(賡進幷))

영조(1694~1776)가 지은 4종의 어제시에 왕세손, 順義君 李烜 등이 갱진한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영조의 어제시는 4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갱진시는 3종으로 두 번째 어제에 대한 갱진시가 없

43 어제금일차당회만배(갱진병)(御製今日此堂懷萬倍(賡進幷))

1772년(영조 48) 2월 영조가 창의궁에 가서 지은 4종의 어제시와 鶴城君 李楡 등 종신과 부마 등의 갱진시, 왕세손 및 신료의 갱진시, 徐命膺의 발문을 모은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4종의 어제시, 종

44 어제금일차진회만억(갱진병)(御製今日此辰懷萬億(賡進幷))

영조(1694~1776)가 지은 3종의 어제시와 왕세손을 비롯하여 安兼濟(1724~?) 등 신료의 갱진시를 필사한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내용은 3종의 어제시와 갱진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영조가

45 어제금진감패(갱진병)(御製今辰甘霈(賡進幷))

영조(1694~1776)의 7언2구의 시에 영의정 金相福(1714~1782) 등 신료 39인이 갱진한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영조가 단비로 인해 기쁜 심사를 읊은 7언2구의 시에 영의정 김상복 등 39인이

46 어제금진차거(갱진병)(御製今辰此擧(賡進幷))

1772년(영조 48)에 창의궁에 나아가서 영조(1694~1776)가 지은 3종의 어제시에 왕세손과 영중추부사 金相福(1714~1782) 등이 지은 갱진시와 徐命膺(1716~1787)의 발문을 엮은 필사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47 어제금진차거(갱진병)(御製今辰此擧(賡進幷))

영조(1694~1776)의 6종의 어제시와 왕세손(正祖)과 元仁孫(1721~1774) 등 신료들의 갱진시를 모은 필사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장서각 소장 『御製今辰此擧』(K4-173)와 비슷한 시기이거나 같은 날 필사한

48 어제금진차악(갱진병)(御製今辰此樂(賡進幷))

영조(1694~1776)가 지은 3종의 어제시에 왕세손과 신료들의 갱진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구성은 3종의 어제시와 갱진시로 되어 있다. 첫 번째는 영조가 1772년(영조 48)에 도총부에 가

49 어제년년삼백(갱진병)(御製年年三百(賡進幷))

1774년(영조 50)의 영조어제 7언시 1편과 이에 대한 갱진시 19편, 1772년(영조 48)의 「御製蕩平科賡韻錄」, 1774년의 영조어제 5언시 1편과 갱진시 19편, 1774년 영조어제 7언시에 대한 갱진시 13편을 모은 첩이

50 어제몽중작갱진(御製夢中作賡進)

영조(1694~1776)의 어제시에 영의정 洪鳳漢(1713~1778) 등이 갱진한 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비단 재질의 제첨을 사용했다. 【체제 및 내용】 체제는 갱진의 경위를 설명한 小識와 어제시가 맨 앞에 있고 이

51 어제부문무지도(갱진병)(御製夫文武之道(賡進幷))

1772년(영조 48) 영조(1694~1776)의 7언시에 김상복(1714~1782) 등 18인이 갱진한 필사본 시첩이며, 채제공(1720~1799)의 서문이 붙어 있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를 필사한 시기는 177

52 어제석금여회(갱진병)(御製昔今予懷(賡進幷))

1773년(영조 49)에 지은 영조(1694~1776)의 어제와 金陽澤(1712~1777) 등의 갱진시를 비롯한 2종의 어제와 갱진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내용은 크게 2종의 어제시와 갱진시로

53 어제석년중흥(갱진병)(御製昔年中興(賡進幷))

1773년(영조 49)에 지은 영조(1694~1776)의 어제와 具允鈺(1720~1792) 등 신료의 갱진시를 비롯하여 3종의 어제와 갱진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내용은 크게 3종의 어제시와 갱

54 어제신량일길(갱진병)(御製辰良日吉(賡進幷))

1772년(영조 48)에 지은 영조(1694~1776)의 어제시에 우의정 元仁孫(1694~1776) 등 43인의 신료가 갱진한 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1772년 9월에 慶科를 치르는 감회를 부친 어

55 어제신춘강학(갱진병)(御製新春講學(賡進幷))

영조(1694~1776)가 晝講을 마치고 내린 어제에 대하여 洪鳳漢(1713~1778) 등 9명의 신료가 올린 갱진시를 비롯한 영조어제 5종과 그에 대한 신료의 갱진시를 모은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영조의

56 어제십구임진(갱진병)(御製十九壬辰(賡進幷))

1772년(영조 48)과 1768년(영조 44)에 영조(1694~1776)가 지은 어제에 대한 신료의 갱진시 각각 18편과 13편을 모은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1772년의 영조어제와 이에 대한 갱진시 18

57 어제십륙수은점(갱진병)(御製十六受恩點(賡進幷))

1773년(영조 49)과 1775년(영조 51)에 영조(1694~1776)가 쓴 어제에 대한 신료의 갱진시 각각 23편과 14편을 모은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1773년의 영조어제와 이에 대한 갱진시 23편

58 어제억잠(갱진병)(御製抑箴(賡進幷))

1763년(영조 39)에 영조(1694~1776)가 군주로서 경계하기 위한 「抑箴」을 짓고, 兪拓基(1691~1767) 등 62명의 신료로부터 받은 갱진을 모두 모은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御製抑箴’이고, 권수제는 ‘御製抑

59 어제입오년래(갱진병)(御製卄五年來(賡進幷))

1773년(영조 49)에 永禧殿에 나아가 작헌례를 한 후 7언2구의 시를 짓고 이에 왕세손과 신료 58명이 갱진한 시를 모은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1773년 9월 18일 영조는 永禧殿 酌獻禮를 행한 후, “25년째가

60 어제자성옹(갱진병)(御製自醒翁(賡進幷))

1769년(영조 45)에 영조(1694~1776)가 쓴 「御製書示冲子予自勉焉」 등 네 편의 어제와 그에 대한 갱진시를 모은 첩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御製自醒翁(賡進幷)’이고 권수제는 ‘御製書示冲子予自勉焉’이다. 장서각에 같은

페이지 이동 : / 6 go
1 2 3 4 5 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