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왕실문예 해제

왕실문예 해제 (114)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해제
21 설중용호회연운축(雪中龍虎會聯韻軸)

1788년(정조 12)에서 1795년(정조 19)까지 정조(1752~1800)가 지은 어제시에 南公轍(1760~1840) 등이 수창한 군신창화시문 7축을 모은 시첩이다. 【서지사항】 K4-116에는 3본이 있다. 116-1본의 전반부

22 수작갱운록(受爵賡韻錄)

1765년(영조 41) 경현당에서 설행한 受爵儀式에서 영조(1694~1776)의 어제시에 兪拓基(1691~1767) 등의 신료가 갱재한 시문을 모은 책이다. 【서지사항】 內賜記에는 1765년 10월 15일에 “一件右承旨臣金(手決)”이

23 수작갱운록(受爵賡韻錄)

영조(1694~1776)가 71세 되던 1765년(영조 41)에 景賢堂에서 설행한 受爵儀式에서 영조가 지은 어제시에 兪拓基(1691~1767) 등의 신료가 갱재한 시문을 모은 책이다. 【서지사항】 『受爵賡韻錄』(K4-120)과 같은

24 순종어제만년장우(純宗御製萬年長遇)

1891년(고종 28)에 고종 탄신일을 맞아 賜饌하였는데, 이때 왕세자(순종, 1874~1926)가 예제를 짓고 沈舜澤(1824~1906) 등 신료가 갱진한 시를 모아 편찬한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純宗御製萬年長遇

25 순종어필옥류천상화(병갱진)(純宗御筆玉流川賞花(幷賡進))

1912년에 창덕궁 옥류천에서 꽃을 관람하고 지은 순종(1874~1926)의 어제시에 李載冕(1845~1912) 등 64인의 신료가 갱진한 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일제 시기 인쇄본이다. 표지서명은 玉‘流川賞花’이다.

26 양성헌주강갱화시첩(養性軒晝講賡和詩帖)

영조가 1767년(영조 43)에 지은 어제에 왕세손(정조)과 申晦(1706~?) 등 신료가 갱진한 갱진시를 모은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1767년 영조가 창의궁 양성헌에서 주강을 한 후에 시를 짓고 갱진한 것이다.

27 어제감황은시(갱진병)(御製感皇恩詩(賡進幷))

영조(1694~1776)가 모화관에 나아가 군관들의 재주를 시험하고 지은 시에 왕세손(정조, 1752~1800)과 洪鳳漢(1713~1778) 등 48인의 신료가 갱진한 시를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체제는 영조의

28 어제강연개탁(갱진병)(御製講筵開坼(賡進幷))

영조(1694~1776)가 지은 어제에 李重祜(1716~1773) 등 신료가 갱진한 시를 비롯한 어제시 2종과 갱진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영조의 어제시를 먼저 기록하고, 신료들의 시, 작자의 ‘소속

29 어제갱진록(御製賡進錄)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특성 및 가치】

30 어제갱진병(御製賡進幷)

1772년(영조 48) 영조(1694~1776)가 단양일을 맞아 숙종을 추모하며 지은 어제에 왕세손과 仁陽君 李景祜(1705~1779)등의 신료가 갱진한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영조가 지은 선왕 숙종에 대한

31 어제갱첩(御製賡帖)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특성 및 가치】

32 어제고금계사(갱진병)(御製古今癸巳(賡進幷))

영조(1694~1776)가 1773년(영조 49) 고금의 세태를 비교하며 지은 어제에 申晦(1706~?) 등이 갱진한 것을 비롯한 5종의 어제와 갱진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5부분으로 구성

33 어제공명대장부(갱진병)(御製孔明大丈夫(賡進幷))

영조가 1769년(영조 45)에 지은 어제시에 宋載禧(1711~?) 등 신료들이 화답한 갱진시와 「御製勸學文」을 합편하여 엮은 필사본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4종의 어제와 그에 따른 3종의 갱진시로 이루어져

34 어제광명전리(갱진병)(御製光明殿裡(賡進幷))

영조(1694~1776)가 1774년(영조 50)에 光明殿에서 지은 어제에 왕세손과 具善行(1709~1775) 등 신료가 화답한 것을 비롯한 4종의 어제와 갱진을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4종의

35 어제구궐례성(갱진병)(御製舊闕禮成(賡進幷))

영조(1694~1776)가 경복궁에서 登俊試를 치르며 지은 어제에 왕세손과 영의정 김상복(1714~1782) 등 70인이 갱진한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영조가 지은 7언2구의 시는 예가 다시 행해지는 것에 대

36 어제군민신흔(갱진병)(御製君悶臣欣(賡進幷))

영조(1694~1776)의 7언시에 왕세손(정조)과 領議政 金相福(1714~1782) 등 39인이 갱진한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본 도서는 장서각 소장 『어제군민신흔』(K4-166)의 첫 번째 어제시와 동일하

37 어제금래지배(갱진병)(御製今來祗拜(賡進幷))

영조(1694~1776)의 어제에 洪名漢(1724~1774) 등 신료가 갱진한 시를 비롯한 4종의 어제와 갱진을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내용은 크게 네 종류의 어제시와 갱진시로 구성되어 있다. 첫

38 어제금세개연(갱진병)(御製今歲慨然(賡進幷))

1773년(영조 49)에 지은 영조(1694~1776)의 어제와 李重祜(1716~1773) 등 신료가 賡進한 시를 비롯한 5종의 어제와 갱진을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내용은 크게 5종의 어제시와 갱

39 어제금월차진(갱진병)(御製今月此辰(賡進幷))

영조(1694~1776)가 지은 3종의 어제시에 韓翼謩(1703~1781) 등 신료의 갱진시를 모은 필사본 시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구성은 3종의 어제시와 갱진시로 되어 있다. 첫 번째는 팔순에 계사년의 추억을

40 어제금이조지심(갱진병)(御製今爾祖之心(賡進幷))

영조(1694~1776)가 지은 4종의 어제에 申光綏(1712~1775) 등 신료의 갱진시 2종을 모은 필사본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전체 구성은 네 종류의 어제와 갱진시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어제에 대한

페이지 이동 : / 6 go
1 2 3 4 5 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