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왕실문예 해제

왕실문예 해제 (114)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해제
1 강목필강후갱진첩(綱目畢講後賡進帖)

1773년(영조 49)에 당시 왕세손이던 정조가 『資治通鑑綱目』의 강을 마친 일을 기념하여 왕세손과 蔡濟恭(1720~1799) 등 시강원 관원들이 지은 시를 모은 것이다. 【서지사항】 별도의 앞뒤 표지 안쪽에 첨지를 접어 서근을 감싸

2 갱재축(賡載軸)

1781년(정조 5)부터 1795년(정조 19) 사이에 저술된 정조(1752~1800)와 신료의 갱운 시축 20개를 합쳐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정리자로 찍힌 활자본으로 무주 적상산 사고에 보관했던 책이다. 표지의 ‘賡載軸’이라

3 갱재축(賡載軸)

1781년(정조 5)부터 1795년(정조 19) 사이에 정조(1752~1800)와 신하들이 갱운한 시축 20편을 합쳐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정리자로 찍힌 활자본으로 무주 적상산 사고에 보관했던 책이다. 藏書閣圖書印, 萬幾一日貳

4 갱진록(賡進錄)

1854년(철종 5)과 1856년(철종 7)에 대왕대비인 순조비 純元王后의 탄신일을 맞아 철종(1831~1863)이 시를 짓고 鄭元容(1783~1873) 등 여러 신하로 하여금 화답하게 한 시문을 수합하여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5 갱진시(賡進詩)

66세를 맞는 순조비 純元王后의 탄신일인 1854년(철종 5) 5월 15일에 철종(1831~1863)이 진찬을 내리고 시를 지어 鄭元容(1783~1873) 등 신료로 하여금 화답하게 하고 그 시문을 모아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6 갱진시(賡進詩)

1856년(철종 7) 대왕대비인 純祖妃 純元王后의 탄신일을 맞아 철종(1831~1863)이 시를 지어 金道喜(1783~1860) 등 신료가 갱진한 시를 수합하여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장서각 소장 『제신갱진록』(K4-45)의 내

7 갱진첩(賡進帖)

영조의 어제시 「抑戒箴」 1編에 화답하여 朴明源(1725~1790) 등 영조의 세 부마가 갱진한 시를 모아 편찬한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抑箴」은 衛나라 武公이 나이 90세에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箴이다. 1

8 갱진첩(賡進帖)

1772년(영조 48)에 德游堂 進饌禮에서 지은 영조의 어제시에 왕세손 및 金相福(1714~1782) 등 여러 신료의 갱진시를 모아 편찬한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진찬례에 참여한 왕세손과 70여 명의 신료들이 사배하자

9 경운궁갱재록(慶運宮賡載錄)

1773년(영조 49) 10월 4일 慶運宮에서 영조의 팔순을 기념하여 세손 및 徐命膺(1716~1787) 등 신료들이 賡進한 四言體의 頌을 모은 책이다. 【서지사항】 1773년 10월 11일 沈頤之에게 하사한 內賜本이다. 편제면에 남

10 경운궁갱재록(慶運宮賡載錄)

1773년(영조 49) 10월 4일 慶運宮에서 영조의 팔순을 기념하여 왕세손 및 徐命膺(1716~1787) 등 신료들이 갱진한 四言體의 頌을 모은 것이다. 【서지사항】 편제면이 남색으로 ‘慶運宮賡載錄’이라고 서명이 인쇄되어 있다. 『

11 고령리기임각갱재축(高嶺里祈稔閣賡載軸)

정조(1752~1800)가 국가의 주요 행사가 끝난 후 그 행사에 대한 감회를 담아 시를 짓고, 徐命膺(1716~1787) 등 여러 신료가 화답한 시축 11개를 모아 간행한 책이다. 【서지사항】 표지서명은 ‘賡載軸’이지만 첫번 시축의

12 광국지경록(光國志慶錄)

1588년(선조 21)의 宗系辨誣를 기념하여 당시 君臣이 지은 시를 1701년(숙종 27)에 엮은 책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권두에 宣祖御製가 있다. 1588년(선조 21) 謝恩使 兪泓이 조선의 宗系에 관한 내용이 수정된

13 구저정중갱운록(舊邸庭中賡韻錄)

1772년(영조 48)에 영조(1694~1776)가 창의궁에 행차하여 지은 御製詩 및 金相福(1714~1782) 등 신료가 차운한 시를 엮은 책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1772년 1월 15일에 영조는 즉위 49년을 맞이하

14 내원상화무신갱재축(內苑賞花戊申賡載軸)

정조(1752~1800)가 1788년(정조 12)부터 1795년(정조 19)까지 徐有防(1741~1798) 등의 신료들과 수창한 시를 엮은 책이다. 【서지사항】 K4-77에는 77-1부터 77-6까지 6본이 소장되어 있다. 77-1은

15 대보단어제갱화첩(大報壇御製賡和帖)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특성 및 가치】

16 만수성절공부식희(萬壽聖節恭賦識喜)

고종의 탄일을 맞이하여 순종(1874~1926)이 어제를 짓고 의친왕을 비롯한 종신과 내각총리대신 李完用(1858~1926)을 비롯한 신료가 갱진한 시를 모아 필사한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대한제국 고종의 탄일인 만수

17 문조어제상서필강후연구(文祖御製尙書畢講後聯句)

순조의 장자인 문조(1809~1830)가 왕세자로 있을 때 『尙書』 강의를 마친 뒤에 예제를 지어 우빈객 李羲甲(1764~?)을 비롯한 시강원 관원 26인에게 갱진하게 한 시들을 모아 필사한 첩이다.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왕

18 문조예제경우궁재숙연구(文祖睿製景祐宮齋宿聯句)

문조(1809~1830)가 왕세자로 있을 때인 1827년(순조 27) 景祐宮에서 재숙하면서 예제를 짓고, 수행 신료 趙鍾永(1771~1829) 등 17인이 갱진한 聯句를 모아 탁인한 첩이다. 【서지사항】 K4-104에는 104-1,

19 보감찬집청갱재축(寶鑑纂輯廳賡載軸)

1788년(정조 12)에서 1795년(정조 19)까지 수창한 군신창화시문 19축을 모은 책이다. 【서지사항】 장서각 소장 다른 『賡載軸』(K4-43, K4-44, K4-110)과 동일한 내용이지만, 본 도서는 6번째에 ‘德水川聯韻軸’

20 보양관연구첩(輔養官聯句帖)

【서지사항】 【체제 및 내용】 【특성 및 가치】

페이지 이동 : / 6 go
1 2 3 4 5 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