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군영등록 기사

군영등록 기사 (81,426)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401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1년(1643, 계미) 10월 5일

啓曰本廳屬別抄武士試擇之意已爲啓下矣 近地先到者一百三十二員爲先試才其中庸才 者三十九員則汰去而試才時三技俱入者則依前 例似當論賞優等二人別單書入之意敢啓 答曰知道照例施賞

40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1년(1643, 계미) 10월 16일

兵曹啓曰御營廳啓辭本廳屬別抄武士試擇 之意已爲啓下矣近地先到者一百三十二員爲先 試才其中庸才者三十九員則汰去而試才時三 技俱入者則依前例似當論賞優等二人別單書 入之意敢啓答曰知道照例施賞事傳敎矣御營 廳別抄武士試才前例相考則庚午九月日閑良鄭 琳以居首直赴殿試之

403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1년(1643, 계미) 11월 3일

引見時右相所啓御營乃軍務至重之地也本廳有 從事官一員而臣若不遞都提調之任則從事官稱號 事體非便請以都廳改號何如上曰訓鍊都監有都 廳乎右相曰有之矣 上曰然則改其名號爲都廳可也

404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2년(1644, 갑신) 9월 5일

以御營廳別將望單子傳曰自前如此別將別無 落點之規此單子何以盛於望筒入之耶事傳 敎矣凡望單子單望則不盛於望筒備三望則盛 於望筒入之例也今此御營別將旣爲備三望故循 例盛望筒而入啓矣不爲單望而備以三望此曲 折問于本廳之矣敢啓 答曰知道此似是三別將一時啓下矣三望二字

405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표지

御營廳都謄錄 二 仁祖 甲申, 顯宗 庚子

406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2년(1644, 갑신) 10월 7일

啓曰軍兵鍊習及大小號令之事敎鍊官專掌次知 實非等閑之任而本廳軍兵當初湊合之際元數 鮮少故只以四員常時鍊習每患不足習陣之時東 奔西走未能成形況今軍摠比前數多以此四員日 後緩急將何以周旋誠極可慮敎鍊官數三員加 出擇差令該曹給料使喚之意敢啓答曰依啓

407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2년(1644, 갑신) 10월 27일

引見時副摠管黃所啓臣新忝大將未諳頭緖 但本廳皆以自募許屬公私賤竝爲投入不勝濫 雜知委各邑問其役之有無使之詳察募入矣頃 日李浣爲統禦使時其水軍子孫竝爲還屬本役事 已爲啓下而其中多有功勞者還屬本役不過爲 徵布之歸近日軍士連有呼訴者上曰其數幾許 黃曰臣槪量之幾至三百

408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2년(1644, 갑신) 11월 16일

啓曰去十月二十七日引對時因大將臣黃榻前 所啓御營軍中以水軍子枝入屬者分秩書 啓事命下矣本廳軍兵則當初設立之時萬分 參酌毋論公私賤有無役抄屬雖在水軍之類 竝許入屬廣開自募之路其時事目至嚴且重 故戊辰四月以上則以水漕軍入屬者乃六十三名 而此則曾前累次入啓定奪仍存本

409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3년(1645, 을유) 10월 4일

備忘記御營廳提調似不可久曠此意言于備局 備局回啓內云云事傳敎矣御營設立之初只以大 將摠領矣頃年洛興府院君金自點自大將入相 而從前頗得軍情故仍以都提調稱號別出大將 冬月鍊習之事大將專掌爲之矣今者提調雖出 使而大將無故察任且其回還不出數三朔提調之任似 難容易遞易敢

410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4년(1646, 병술) 4월 1일

啓曰卽今捧承傳內引見時領相所啓御營軍 徵召使之上來乎上曰京畿御營軍數幾 許乎領相曰其數千矣上曰京畿御營軍使之 上來事傳敎矣莫重軍兵不可以本廳行移 徵召依前宣傳官持標信京圻監司處下 諭之意敢啓傳曰允

411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4년(1646, 병술) 4월 6일

啓曰本廳軍兵等今已放送所帶將官把摠二員 哨官十員亦爲放送已成前規在前則口食不 難或有在京者矣今則京外之人糊口無責一 時散在誠爲可惜前頭脫有意外之患則急 遽之間勢難聚合將官等其數不多仍置京 城令該曹仍給料米以爲待變之地何如惶恐敢 稟答曰允

41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4년(1646, 병술) 10월 5일

啓曰今月初三日引見時領議政所啓御營出身 軍官四十員前受官料而以完城府院君箚子減 其料此輩南漢守堞下城之後父母妻子盡爲 被虜又死賊於鋒旣無所賴又無所歸數月呼 訴於臣等而朝廷旣已定奪不可更改故不敢 仰違此意今者上言回啓以變通判下何以 爲之上曰已爲定奪之事不可還爲晝

413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5년(1647, 정해) 9월 28일

啓曰經亂以後本廳各樣軍物蕩盡無形雖以年例 立番軍兵操鍊之時亦不成模樣脫有緩急則誠 極可慮每思措置之策而非但物力之不敷幹事 之人未易遷延今日矣別將閔應騫專管料 理以本廳若干料布募得工匠許多軍物 完畢於數三朔之內誠爲多幸新造各樣軍 物之數別單書入之意敢 啓答曰知道

414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6년(1648, 무자) 3월 17일

啓曰云云事傳敎矣臣金未知首末考見文書則上 年春夏間大將邊軍物打造時深悶料布之 難辦以火藥五十斤薪鐵二夫里送于洪淸水使處 從便換助之意移文送之的實而本廳別無勒定之 事敢啓答曰知道本廳不爲啓稟如是貽弊極 爲不當邊士紀推考

415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6년(1648, 무자) 10월 13일

引見時上謂兵判曰我國衣袖甚闊最害於兵家文官 雖闊袖無妨而武士亦然此甚有弊也兵判曰己卯年 聖敎如此故言于武士等改其袖口厥後漸不遵行至 今大闊矣上曰卿乃大將也卿往軍中時先着狹 袖以示之可也

416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3월 24일

備邊司啓曰以前執義金弘郁陳弊啓辭 傳曰令廟堂議處事傳敎矣其曰御營軍旣給 三保立番之時又給料食亂前立番以五六年爲一 次亂後停其番次至有十年不立番者其後愈 歇願屬者愈衆或有圖出行移入屬者厥數旣 多宂雜太半抄出精銳因爲御營軍不才兼能者 竝令汰定他役云者亦不無意見而御

417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4월

啓曰本廳乃軍務衙門而書吏四名常時每患不足 上年因該曹年凶權減三名只存一名非但各道軍 兵許多文書使喚不成模樣衙門事體亦甚苟簡 而其時軍兵以凶年不爲上番故初不變通矣今 則軍兵旣已上番又有諸道軍兵作隊文書修正之 事只此四吏南漢扈從與軍兵一體守堞多有勤 勞凶年不給料除

418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4월 20일

啓曰云云事傳敎矣本廳軍兵設立之初試砲試 射擧沙抄擇故身手俱健人皆稱其精銳矣厥後 募入路廣願屬者多人反病其宂雜諫臣啓辭 實出於此也但軍兵散處於外方健弱才否勢難 倉卒閱覈臣李姑待秋成巡閱三南試其才 藝揀精汰宂之意都提調臣金頃於榻前屢 次陳達矣給保一事當初事目則只給

419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12월 15일

啓曰本廳軍兵上番時諸道兵使各其境上來到親 自點閱別定實軍官及營吏領送者其意有在 而近年以來怠慢成習或令虞候代行或定都會 官點送軍官則以道內假軍官苟充色吏則各官 假吏輪回塞責領送莫重上番軍兵所持機械全 不檢飭今此後運軍兵本廳點考時機械見頉者 甚多殊無啓下申飭之意

420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12월 19일

一右議政金堉箚子伏以昨者因御營大將所啓有差 出都提調之命此則尤不可相臣雖未能詳知前領 相金爲御營大將因以入相相臣不可爲大將故稱 以都提調蓋以金諳練首末故也自古軍中有體 察元帥無提調之號且御營爲名出於不幸之中 此豈常設之官乎臣之意欲竝與大將而罷之屬其 兵於本道兵

페이지 이동 : / 4072 g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