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일기자료 기사

일기자료 기사 (301)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81 묵재일기(默齋日記) 1546년 2월 3일 경인

自夜下好雨。 ○居同家。服膏藥。困倦晝寢, 夕食食不能多。○評事金守雍稱念送遺鷄、酒及租石帖字。謝之。○得卿奴莫同, 曾覔猪非者, 歷問之。饋酒。見之問其年, 則甲寅生云云。○牧令公取碁盤去。○北門外居軍士持傳金海倅君瑩所送□一箱子。○焙山藥, 火熱而焦。○希

82 묵재일기(默齋日記) 1548년 2월 3일 기유

陰。 ○居同。○少服釣腸元。○陝川倅期叟到冶爐縣, 送遺米、太各一斛, 書問之, 修辭狀。○令道朝送石富笠子、耳掩等物, 使遺之。前日請送于民故也。○子和奴多勿沙夕到言“今往大里看開渠”云, 即去。○令萬守往見大里開川防築事。夕, 與今金伊還報曰“防築近旁之人

83 묵재일기(默齋日記) 1551년 2월 3일 신유

朝晴夕陰。 ○留堂。服藥餌。○妻氏留此。○再下見吉孫, 貌始肥白。○金世紹【引之】來見, 言“去冬減給銀魚, 復出件記督納, 悶悶”云。伻人奉示減文于二道, 則更敎勿督云。其戶玉春油未收一合, 亦告減之。共飯夕食, 明日欲往陝川云, 修簡於瑞翁前, 寄傳之。卽

84 묵재일기(默齋日記) 1552년 2월 3일 을묘

微陰。 ○留堂。服餌。○下見兒輩。兒泄似止, 熅曉痰上一云。○僧惠正留, 束小筆三十八枝, 不及粧。供食留宿。○白川崔珙叔主子公憲【字國經】歷見, 言其兄公老爲左兵營虞侯, 故來見云云, 以靑魚醢遺之。少酌送之, 修柬於叔主而寄之。叔主辛卯生八十二, 長叔璋氏

85 묵재일기(默齋日記) 1553년 2월 3일 경술

晴暄。 ○○○安峯影堂設祭, 曉起進參。吾降香進茶, 行畢撤退。○與天章着將棋, 去夜亦張燈着之。移坐祖殿餕之, 復着將棋。○二道城主訪天章及我臨寺。先送妓生, 午乃到, 會坐禪堂, 設茶啗, 仍設酌作樂。參席者裵振綱、李彦洪、呂從英、李士謙、天澤也。酒半,

86 묵재일기(默齋日記) 1554년 2월 3일 갑술

晴, 風寒地涷, 午風吹乍雪。 ○留堂。服松末。○妻氏留此。○天澤習《史略》。○居昌加造縣居李傳來見, 言“李萬年之後”云云。○《古文選》初卷落丈元一, 而妄謂二也加入誤書, 還去, 可謂老迷也。○牧使還衙云。 | 맑음, 바람이 차고 땅은 얼었으며 낮에는

87 묵재일기(默齋日記) 1555년 2월 3일 무진

雨雨。 ○留堂。服松末。○與天澤爲碁。天澤冒雨潛往人家, 經宿而還曰“與金聃壽同宿”云云。○下見妻孥, 冒雨往還。 | 비가 내림. ○당(堂)에 머물렀다. 솔가루[松末]를 먹었다. ○천택(天澤)과 바둑을 두었다. 천택이 비를 무릅쓰고 몰래 인가(

88 묵재일기(默齋日記) 1556년 2월 3일 임진

陰晴風寒, 春分, 彗出北方。 ○留堂。移宿北壁下。○仁同倅金蘭宗送遺米、太, 有書問。修答以謝。持來人似偸取。○與天澤碁。○郭季孫之子來言“馬病, 不得持往知禮”云云。乃令崔文持廏馬明日往焉。○彗星夜半在天中, 曉在微西云。○牧伯如金山反庫云。○子痰厥。 |

89 묵재일기(默齋日記) 1557년 2월 3일 정해

晴。 ○○○影堂行祭。姓孫齊拜, 祭畢退休。○三寶供茶、餠, 齊會祖殿, 食之。與張繼顔將棋。朝飯會食于禪堂。食畢, 三寶岑熙托耳聾欲退云云。李瑜言可遞也, 遂以希尙代之。參祭人皆去, 呂岩留話, 夜深不已。欲揣我考究仙書深淺矣, 吾實無見, 以何述答□□。乃

90 묵재일기(默齋日記) 1558년 2월 3일 신사

晴風。 ○宿堂護孫。孫有內熱, 齒黑根腫血出。○因氣不平, 合正氣散, 煎之。○食後下見拾碁, 還堂夕食。○連守乃還曰“恩孫當歷”云云。 | 맑고 바람 붊. ○손자를 돌보면서 당(堂)에서 잤다. 손자는 내열(內熱)이 있고, 치아가 검고 이뿌리에 종

91 묵재일기(默齋日記) 1559년 2월 3일 을사

陰。 ○宿堂護孫。○下見共朝食, 食後還堂。率兒上南亭望遠。仍往北門外見李淳, 淳之濕證、足痛不已云云。呂孺來見。與之共如其家, 見其孫兒學業。有名天得者, 似秀矣。留與着將棋, 主人出酒酌一杯。久坐待食夕飯。殺雞供具矣。吉兒、大成、應祥等皆食。食畢乃還, 取

92 묵재일기(默齋日記) 1561년 2월 3일 계사

晴陰。 ○宿堂護兒。兒習《小學》, 心牽於戱遊。禧亦習。○欣世還槐山, 付送昨書答狀等。○下見共朝食, 拾行碁。午還堂, 倦睡。○牧伯送牛肉一塊。以言爲謝。○早招紬布色彦龍來, 饋酒送之。○午, 令子公持紬二匹納于官廳矣。裵仁孫、柳漢等尺文受來, 二道爲押。○

93 묵재일기(默齋日記) 1562년 2월 3일 정사

晴。 ○妻氏夜來苦吟不已, 雞鳴服香蘇散四度, 飮竹葉湯云云。早朝歡飮白粥水少許, 煩熱苦吟。以人參、天門冬、桑白皮煎水, 調至寶丹三丸, 勸服。服後覺爽云云。午前侍兒進粟米飮少許及炙雉四點。午後渴甚。進敗毒散少許冷者。服後似快云云。向夕復求水。又進敗毒散少許

94 묵재일기(默齋日記) 1563년 2월 3일 임자

○留。○牧伯送黃魚一。○李忠俊來遺壺酒、黃肉、胃片。 | ○당(堂)에 머물렀다. ○목사가 황어(黃魚) 1마리를 보냈다. ○이충준(李忠俊)이 와서 병 술 1병 남짓·소고기·소 위(胃) 한 조각 남짓을 주었다.

95 묵재일기(默齋日記) 1564년 2월 3일 병오

○留。○姜順來遺訥魚二尾。○李智送黃魚二尾。○呂應諧設酌。往參。○李翼卿、韓世璉等送黃味。 | ○당(堂)에 머물렀다. ○강순(姜順)이 와서 누치[訥魚] 2마리를 주었다. ○이지(李智)가 황어(黃魚) 2마리를 보냈다. ○여응해(呂應諧)가 술자리

96 묵재일기(默齋日記) 1565년 2월 3일 경오

○留。○姜順昨送訥魚、黃魚各一, 今日送牛心。 | ○당(堂)에 머물렀다. ○강순(姜順)이 어제 누치[訥魚]·황어(黃魚) 각 1마리를 보냈고 오늘은 소 염통[牛心]을 보냈다.

97 묵재일기(默齋日記) 1566년 2월 3일 을축

○留。○二道送小魚一斗。 | ○당(堂)에 머물렀다. ○판관이 작은 생선 1말을 보냈다.

98 묵재일기(默齋日記) 1567년 2월 3일 기축

○留堂。○文烈公墓祭, 告葬妻塋後事由。鄭涉代往以行。 | ○당(堂)에 머물렀다. ○문열공(文烈公) 묘(墓)에 제사를 지내고 아내를 그 묘소 뒤편에 장사지내게 된 경위를 고했는데, 정섭(鄭涉)이 대신 가서 행했다.

99 민소책(民訴冊) 2월 3일

南面菊坪居朴德圭呈 去八月蛾墻坪畓四斗落 興成于他人 耕作得標 意外本面大谷里居金哥 稱云得標生臆 則題下禁斷事 題內 田畓之居間興成 爲其耕作之例也 今此畓主之移作於他人云者 甚庸訝惑 汝果興成之初年 則此畓 汝必耕作 農家之經界也 往示此題於畓主聽其言 更

100 북정일기(北征日記) 三日

晴 南兵使早發還 使太山持書告以未握別之意 其回受答 喝 鏡城令·崔直長膺鏞·金掌儀善五·崔座首·金儒佑天· 金老人觀濬·姜儒仁燮·劉儒宗鉉·宗人在觀來見 李儒子晦 致書以訊 答以送之 宗人永秀·徐座首來見

페이지 이동 : / 16 go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