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일기자료 기사

일기자료 기사 (310)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81 묵재일기(默齋日記) 1545년 2월 1일 갑오

晴, 春分。 ○早, 喫粥仕進。入丹鳳門, 入注書廳。見勗之狀元, 今日下直赴寶城云云。又出見谷山郡守申洙氏, 乃來廳, 同僚皆會。有退膳分食之, 乃點心。午, 復有退果, 裹呈權三寸宅。午後點心。伯胤、克已共直, 吾等還家。○歷見雲卿令公, 謝朝惠唐紙十丈。

82 묵재일기(默齋日記) 가정(嘉靖)25년(1546, 병오)2월 큰달 신묘 1일 무자

晴暄。 ○謫寓星州東門外公賤巨乙乎音家。服補精膏, 無效。眼昏腰痛, 左股寒。○朝食後, 投西卜家, 見別郭汝雨。來十六日限也, 恐未及云。○以蘇合元十丸贈之, 別後還寓。○李應辰來見, 成諶亦來見, 久話而歸。○安寅來習。○權瑊奴順同在花原, 令人來受答簡去

83 묵재일기(默齋日記) 1548년중춘(仲春) 2월 작은 달, 을묘 1일 정미

雨雨, 晝夜平均。 ○○影堂行祭。三寶智暹備設。李應辰、李瑜、李得中、李勳卿·翼卿、李箕星及吾參祭, 李承昌以老不參。○會餕于禪堂。僉位共議改定三寶, 以老僧智日爲之。且考前年屯田所出雜穀數, 錄付三寶, 使繕馬廐焉。○向午雨止, 乃罷散。吾歷見呂牛峯大之,

84 묵재일기(默齋日記) 1551년2월 큰달 신묘 1일 기미

朝陰午晴風。 ○留堂。服藥餌。○妻氏留此。○下見吉孫抱弄。○太浩處, 推《神應經》及和劑來。○洪忠義宅送竹三竿, 也札取來。○奴尙孫見黜於溫孫, 不肯復居槐山云云。○山僧普明來請末醬太, 小寺至分二石, 且耗七斗云。許令造一石, 而餘太送此, 當爲處置云。飯送

85 묵재일기(默齋日記) 1552년중춘(仲春) 2월 큰달 계묘 1일 계축

晴。 ○留堂。服餌。○下見兒孫, 則兒泄不差云。○李勳卿持雉二、鳩一來遺, 請丐山陳鷹于州官云。又請所知告軍保督現者, 告城主緩督云。不知牧使言之。失火燒幕云。少酌以送。○朴渭、千石等來見, 少酌而散。○同叱眞處取《海東書帖》來, 時不付一丈矣, 紙則不准,

86 묵재일기(默齋日記) 1553년중춘(仲春) 2월 작은달 을묘 1일 무신

晴風。 ○留堂。服松末。○二道前告權績加利縣戶奴逃亡處還上減給事, 則半减事答通, 卽以是爲答。○老成習文。○權禮孫子來言“父出他未還, 軍籍所督現, 悶悶”云云。伻人李座首前, 請緩之, 飯送之。○短琴膠棵, 扣之, 聲韻尋常。○南里人窩宇火焚, 不延燒,

87 묵재일기(默齋日記) 1554년중춘(仲春) 2월 작은달 정묘 1일 임신

陰, 午后下雨。 ○留堂。服松末。○妻氏留此。○知禮倅盧君禛以雪菴書法《兵衛森帖》一部, 粧冊送贈。○李廷老妻趙氏送簡, 求收其婢貢物, 敎備云云, 伽川末丁妹也。末貞處書牌字, 使之備上, 飯送之。○价川姉氏送簡, 求還檢山田云云。答以決得後可還之意。文應亦

88 묵재일기(默齋日記) 1555년중춘(仲春) 2월 큰달 기묘 1일 병인

晴暄。 ○留堂。服松末。○漆原居安濯安灝之弟也, 上京云, 歷見蘇話。作書問於淸之、子元等前寄去。○奴等修籬於堂南, 不實。○曉頭覆溲器于房中, 促火拭之。淑禧置器於衣上。吾誤倒之。○京中權參奉叔母主因人送朴桂。且寄諺書言貧, 又敎更書畓文記以送事。○二衙室內

89 묵재일기(默齋日記) 1556년중춘(仲春) 2월 큰달 신묘 1일 경인

陰風, 夕晴, 彗出。 ○留堂。○李膚敏朝辭去。早饋饅頭、藥飯, 繼對朝食焉。望時率婦還京云云。○普明僧送菁根、黑太等物。送遺常曆一事。○金引之處送裝曆一事, 刼孫持傳。○洪述之氏又書問, 送艾餠, 復言大生事。以其簡示兵房吏問之, 則時無此公事云云。○普明所

90 묵재일기(默齋日記) 1557년중춘(仲春) 2월 작은달 계묘 1일 을유

晴明。 ○留堂。護兒, 始誨抄句《千字》。雖不熟習, 姑誨新冊以興其志。○妻氏留堂, 監末醬。○軍威倅韓綰專人書問, 送遺米、太各十斗。金命元亦有書問, 受得退溪李景浩次韻兩律及說一章以送。可喜可喜, 卽修謝, 付還。○與老成碁。○伻借呂應諧馬, 明日有行也。

91 묵재일기(默齋日記) 1558년중춘(仲春) 2월 큰달 을묘 1일 기묘

風雪。 ○宿堂護孫。近患上咳, 不平。○早作, 下見權紀, 對飯酌酒。辭去。以笠帽一、足巾一、舊鹿皮靴一贐行。更求分土。不與。且言“四寸權緯之田, 伏在槐山三半日耕, 欲換牛”云。可買云云。乃去。○令連守往授乾枾于亡難, 又令尋見權緯奴恩孫于伽川, 使招之。○

92 묵재일기(默齋日記) 1559년중춘(仲春) 2월 큰달 정묘 1일 계묘

晴和。 ○宿堂護兒。○下家略擧亡子朔。淑禧與吉設影子而祀之。○吉祀後還堂, 見我垂涕矣。率下下家, 乃啗藥飯。留朝食, 上堂見蔡無怠。三月嫁女, 成子濟爲婚云云。久坐話之, 共啗藥飯, 入州去。○誨大成書, 粧衣白曆。復下見夕食, 食後拾碁。○江華宅妾子安玢來

93 묵재일기(默齋日記) 1561년중춘(仲春) 2월 큰달 신묘 1일 신묘

晴冷。 ○宿堂護孫。孫始習《小學》。敎半張。唇坼出血有熱。○書還牧使《名臣言行錄》十三、《中庸》等目。○呂沈姊夫申喜之子光俊來見, 仍傳淸風令妻權氏諺簡。簡中言“欲婚嫁須扶窘”云云。答以困居之意。○二道前簡請李玉千正布矣改差事。不聽。又白仁孫紬請納事。退以尺短

94 묵재일기(默齋日記) 1562년중춘(仲春) 2월 큰달 계묘 1일 을묘

晴。 ○宿堂護孫。不服藥。孫有脇筋不調之證。○妻氏汗流, 身困 不服冷藥物, 只飮元糜。又因奴化, 驚傷加不平。○李景明送還貂耳掩, 李弘宇已入丈于昌寧云。○老奴車同夜飮藥水及元米, 且能言說, 昧爽忽化云。可驚可驚! 買棺以斂之。○下見內候, 則言之炁乏。又

95 묵재일기(默齋日記) 1563년중춘(仲春) 2월 작은달 을묘 1일 경술

○留堂。 | ○당(堂)에 머물렀다.

96 묵재일기(默齋日記) 1564년중춘(仲春) 2월 큰달 정묘 1일 갑진

○留堂。○元所乀持鷹來見, 納雉七。○宋世臣送鶉六。 | ○당(堂)에 머물렀다. ○원쇠[元所乀]가 매를 가지고 왔는데 꿩 7마리를 바쳤다. ○송세신(宋世臣)이 메추라기[鶉] 6마리를 보냈다.

97 묵재일기(默齋日記) 1565년중춘(仲春) 2월 큰달 기묘 1일 무진

○留堂。○婢玉介、婢亏叱德等來自槐山。奴貴孫亦還來。 | ○당(堂)에 머물렀다. ○비(婢) 옥개(玉介)·비(婢) 우질덕(亏叱德) 등이 괴산(槐山)에서 돌아왔다. 노(奴) 귀손(貴孫)도 돌아왔다.

98 묵재일기(默齋日記) 1566년중춘(仲春) 2월 작은달 신묘 1일 계해

○留。居。○鄭瑩叔惠及正米二石、生獐一口。○李彦來遺黃魚五尾。○安峯僧來遺炭三石。 | ○당(堂)에 머물렀다. 재계하며 지냈다. ○정형숙(鄭瑩叔)이 정미(正米) 2섬·생 노루 1구(口)를 보냈다. ○이언(李彦)이 와서 황어 5마리를 주었다.

99 묵재일기(默齋日記) 1567년중춘(仲春) 2월 작은달 계묘 1일 정해

○校生來遺福酒、膰肉。○慶山倅惠送猪肢一、雉二首等物。○安峯影堂行祭, 雪玄掌設云。○留堂。金宗連送生栗。 | ○교생(校生)이 와서 복주(福酒)·번육(膰肉)을 주었다. ○경산(慶山) 현감이 돼지 다리 1짝·꿩 2마리 등의 식품을 보내주었다. ○

100 북정일기(北征日記) 二月 初一日 戊申

早晴晩陰 是日卽中和節 而北人謂之蜰怛忌也 此土人傳 諺 以此日謂海水出嫁日 而水爲之退去云 故乃與主令早往觀之 冠童六七人隨之 至前津穿 島 紅日初出矣 觀海水 果退去 比前幾爲落一丈許 亦異事也 步登島上 四望彷 徨 時遠近士女觀者雲集 回望津舍掛太魚處

페이지 이동 : / 16 go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