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영등록 소개

닫기

군영등록이란

이 글은 아래 논문에서 발췌한 것으로, 기관별 소장량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정해은, 「장서각(藏書閣) 소장 군영등록류(軍營謄錄類) 자료에 관한 기초적 검토」,
『장서각』 제4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등록(謄錄)’은 베껴서 기록한다는 말이다. 조선 후기의 등록은 주로 행정 관서에서 업무 과정에서 산출한 1차 기록물을 관청의 소용에 맞게 편집한 2차 기록물을 말한다. 유형별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전지(傳旨)나 수교(受敎) 등의 왕언(王言)을 수록한 등록으로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왕이 결재하거나 왕명을 받아 시행하는 형식이다. 대표적인 예로 『각양수교등록(各樣受敎謄錄)』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예조에서 선조 말부터 순조 연간까지 공신 후손들이 군역 등 잡역에 침책당하고 있음을 상언·상소한 사항을 보고하고 수교하여 처리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두 번째는 행정 관서에서 업무를 처리한 내용을 기록한 등록이다. 관청 일기와 유사하나 일기가 매일의 일상 업무를 기록한 반면, 등록은 관청 사이에 주고받은 공문서를 위주로 정리해 두었다는 점이 다르다. 각종 군영등록이나 비변사등록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특정 주제나 사안에 관한 사항을 엮어 놓거나 어떤 사안이 발생했을 때에 시말을 정리한 등록이다. 전자로는 『제례등록(祭禮謄錄)』, 『의주등록(儀註謄錄)』 등이 해당되고, 후자는 각종 의례등록이 대표적이며 의궤와도 유사하다.
따라서 군영등록은 조선후기 중앙군인 오군영에서 매일 관청 간 주고받은 공문서 위주로 정리한 일지성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를 후일의 참고를 위해 재정리한 자료도 포함되어 있다.

국내외 군영등록 소장 현황

순번 소장처 종수 책수 비고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72 570
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한연구원 36 119
3 국립중앙도서관 2 4 4책 모두 복사본
4 국사편찬위원회 2 5 5책 모두 복사본
5 일본 동양문고 2 4 3책은 전자복사
114 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