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군영등록 기사

군영등록 기사 (5,446)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1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년(1624, 갑자) 12월 1일

兵曹 啓曰本月二十八日本曹與摠戎使李曙會同開坐于 訓鍊院御營軍兵等得其自願或試射或放 砲入格人等分等秩秩開錄別單書啓當初事 目內有力彎强弓射能命中膂力過人能擧三 百斤者及妙於鳥銃三十步外能中鳥雀自 持戰馬願爲騎兵先給銀子十兩良入禁軍 除授公私賤則卽爲許良庶孼則

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5년(1627, 정묘) 12월 10일

啓曰前冬闕內御營軍試射時大將躬領與兵曹都 摠府會同試射而今日試射事昨已命下矣今 日大將臣金以義禁府典醫監兩處褒貶進去 提調臣李以軍器寺褒貶亦不得來參以中軍 躬領試射之意敢啓答曰知道

3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5년(1627, 정묘) 12월 17일

啓曰胡變時御營軍元不赴亂人中南漢山山城定配 者四十一名仍逃不現者七名陣上逃亡方在死律者 三名令各道督令跟捕事啓下矣卽見江原 監司吳䎘所報本廳公事襄陽逃亡軍金汝鏡 艱難捕捉囚禁云所當漣川逃亡李五十同例宣 傳官下送所囚處梟示而近因二相臣李蕢箚子 各道逃軍幷有蕩滌之

4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7년(1629, 기사) 12월

晝講時 上曰御營軍明未知如是精銳之意矣今則如是壯 健精銳極爲可嘉提調李曰如是下敎不勝惶 恐而尤爲惶恐者上番時多寡不一丁立二千二立二 百今立八百以此上番不得劃一尤悶云云 上曰知道仍傳曰須爲試才以爲特一而射手不能中 者降砲可也又傳曰今日操鍊定日後有頉則頉單 子後退

5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2년(1634, 갑술) 12월 6일

啓曰先運軍兵例於十二月初六日替放矣後運體府 牙兵累年不番且無赴防之事故當初推捉之 時定以今月初五日而慶尙左道外餘皆准到合 操替直先運軍兵中遠道之人爲先放送之意 敢啓答曰知道莫重徵召之事不爲啓稟 任意定日使替直之軍經先上來若以古規論之 則大將以下難免重罪矣

6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2년(1634, 갑술) 12월 7일

大將待罪 臣待罪本廳積久七年常懷悚懼雖係微細之 事未嘗不陳稟而行之今者伏承傳敎之意 後運軍期限日子進定一節果不入於體府牙兵立 番推捉啓辭中臣以大將昏昧不覺自犯軍律 罪不容誅席藁待罪措身無地蓋其曲折則在 前軍兵徵召之規先運則九月二十五日京中逢 點而十月初一日立番

7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2년(1634, 갑술) 12월 7일

提調待罪 臣雖在病苦之中身上職任尙帶未解不敢以犬馬之 疾久曠所授之任雖不能參坐公廳凡係軍務無不相 議矣今此後運軍期限進定曲折臣亦參知而體府 牙兵推捉事草記中昏未能格擧致勤 聖敎其所失誤與大將臣金少無異同況臣爲一廳頭 首而自觸軍律其何以繩諸將之有犯也臣之罪戾 至

8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7년(1639, 기묘) 12월 12일

啓曰前日義城軍兵呼訴之意曾已略擧陳達矣本邑 軍秋天立異姓四寸金莫男呈狀內先運上番時本官 以山行之事疾視御營軍托以軍器有頉九月二十二日 重杖天立故渠自代來立番矣今聞天立九月二十九日 因杖致死云又爲呼訴天立年少一等善放砲手非 但累次立番丙子年赴西金化力戰者也係是軍

9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8년(1640, 경진) 12월 1일

啓曰云云事傳敎矣軍兵調發所關非細若以二月 到彼交替則其間日子不過五十餘日而更令備局 軍數及火兵一事商確磨鍊期會日時幷□ 定奪後擧行之意敢啓 答曰依啓火兵姑減二百名似可矣

10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8년(1640, 경진) 12월 1일

備邊司 啓曰御營廳草記更令備局軍數及火兵一事商 確磨鍊期會日時竝爲定奪後擧行之意敢 啓傳曰依啓事傳敎矣今見儐臣狀啓鄭譯言 軍數入去瀋陽後當爲定奪云果爾則日時遲 速有不可預爲揣度而我國調兵非能朝令夕發 等待彼中回報不爲預先講定則違語之失又恐難 免臣等反覆參究旣以

11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8년(1640, 경진) 12월 2일

云云事 傳敎矣丙子之變扈從者一千六百五十四名赴西者 三千名此則所當今番抄送時減去其餘砲手一 千名火兵三百名當爲抄出行會而其中或不無疾病事 故者加抄三百名開月初十日齊到京點有頉者刪 去而依前赴西例令本道擇定將官題給刷馬及期 上送之意各道監兵使處星火行移何如 答曰

1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8년(1640, 경진) 12월 3일

啓曰本廳草記砲手一千名火兵三百名當爲抄出而或 不無疾病事故者加抄三百名正月初十日京點之意 入啓傳曰知道新入者亦勿抄出火兵以束伍軍定送 宜當各且道分定數啓下後行移加數一事勿施事 傳敎矣五道應赴軍數抄出別單書入而正月初十日 齋到京點則其間日子不多依前發遣宣傳官徵召

13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0년(1642, 임오) 12월 13일

備邊司本廳大將單望單子備望據備邊司回啓 內傳敎矣謄錄相考則自前御營大將自兵曹 皆以擬差而今則金方在兵曹故臣等相議擬 望矣敢啓答曰此是謬規依例備擬可也

14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12월 15일

啓曰本廳軍兵上番時諸道兵使各其境上來到親 自點閱別定實軍官及營吏領送者其意有在 而近年以來怠慢成習或令虞候代行或定都會 官點送軍官則以道內假軍官苟充色吏則各官 假吏輪回塞責領送莫重上番軍兵所持機械全 不檢飭今此後運軍兵本廳點考時機械見頉者 甚多殊無啓下申飭之意

15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12월 19일

一右議政金堉箚子伏以昨者因御營大將所啓有差 出都提調之命此則尤不可相臣雖未能詳知前領 相金爲御營大將因以入相相臣不可爲大將故稱 以都提調蓋以金諳練首末故也自古軍中有體 察元帥無提調之號且御營爲名出於不幸之中 此豈常設之官乎臣之意欲竝與大將而罷之屬其 兵於本道兵

16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12월 19일

一啓曰本廳軍兵上番則中軍把摠哨官等不可無書 字的畿邑軍兵中識字者推捉使喚乃是規例也 加平居本廳軍保朴信稍解文字故去十月先運 軍上番初以中軍書字的發關推捉而本郡距京 城泛宿之地一朔垂盡了無回報欲問其故推捉色吏則 又經一旬之後亦不起送張皇論報曰同朴信父朴論 山以山

17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2년(1651, 신묘) 12월 30일

啓曰本廳以新設衙門且無物力使喚下人及依着舍宇 不成模樣往在丙寅年間社稷洞上端得一空處構 屋三間且設數行庫子藏置若干軍物而地甚狹隘 軍兵置閱亦不得成列事甚苟簡今此逆賊趙仁弼 家基便近於昌德宮而地勢敞豁可設衙門令該曹移 給本廳逆家奴婢中在京者亦爲題給以爲使喚之地

18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3년(1652, 임진) 12월 26일

□啓曰畿甸糧餉及各道作木連續來到捧上文書與尺文 成給時不可無郞廳行用印信依訓局例軍色郞廳 糧餉色郞廳所用印信各一顆令該曹及時造給何如 傳曰允

19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6년(1655, 을미) 12월 16일

啓曰本廳江倉本月十五日內摘奸時闕直郞廳現 告事自政院分付而設倉以役以權設衙門曾 無入省記直宿之事闕直郞廳不得現告之意 敢啓答曰知道

20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6년(1655, 을미) 12월 16일

啓曰中部軍兵自來年二月至七月以農除番八月 爲始立番之意曾已定奪依前定奪中部軍兵 徵召之意敢啓 答曰第念春夏間則無一名立番者似爲虛疏殊 無當初本意未知如何更爲議處

페이지 이동 : / 273 go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