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군영등록 기사

군영등록 기사 (7,410)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1 1615~1617년 훈국등록(訓局謄錄) 광해군 8년(1616, 병진) 3월 7일

三月初七日 都監軍色機務極緊不可一日曠闕郎廳 兪晋曾覲親受由下去靈光群上來遲遞 未可豫料且以千秋使書將官赴京之期 亦不在遠勢難久察其任兪晋曾軍色 郎廳改差他郎廳斯速差出何如 傳曰允

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3년(1625, 을축) 3월 26일

同副承旨徐景雨以摠戎廳言 啓曰慶尙道軍威官御營軍孫戌生以御營 軍成冊上送立番未滿一朔又定歲貢生不當 辭緣枚擧入啓守令推考色吏充軍事蒙 允行會矣今過三朔未見其擧行不小啓下公 事終未免廢閣極爲未安上項定配色吏姓名 及發送日時爲□□□後使別定押付該司 事更爲行會宜當

3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6년(1628, 무진) 3월 27일

啓曰御營軍則前後運上來者曾皆放送矣降倭二 十餘名正月二十日間聞逆變自來其時卽爲 啓知給料扈衛矣卽今農節將晩亦爲放送宜當 但此輩復戶一事年前啓下自該曹亦爲覆 啓行會而所居各邑遵奉擧行者絶無而僅有年年 往來每失農時事涉冤悶依前行移完復戶役得 以保全之意監兵使處更爲

4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4년(1636, 병자) 3월 1일

啓曰去二月二十九日備邊司堂上引見時 傳曰三南軍御營軍不可專入兩西軍加抄輪回入守 安州則好矣事傳敎矣且同日因昇平府院君 金所啓備邊司覆啓御營軍砲手三千名先 運抄送事入啓蒙允矣本廳砲射元數別單書啓矣

5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4년(1636, 병자) 3월 1일

啓曰云云事傳敎矣本廳砲射元數別單書啓 矣上年秋冬臣等慮有如此之患各道各所在 砲射手及體府牙兵從其所居附近官作伍作 隊分作六十餘哨小名成冊已爲知委且臣李 與臣金每議凡有徵發必以全哨召用之意 至於入啓分付軍中今此三千之軍以砲手 抄送乎依前約束以各道中近邑之人全哨徵

6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4년(1636, 병자) 3월 1일

啓曰因慶尙等道監司處有旨傳曰御營砲 手自本廳從多寡定數入于下諭中似當政院 察爲事傳敎矣各邑所在之軍旗隊摠則上 年分哨傳令時已爲擇定以送矣哨官則初未有 定之者許多軍兵不可無領率之人令本道本 官另擇有計慮曾經守令邊將表表人每哨各 定哨官五哨定一把摠且定都領將限內來

7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4년(1636, 병자) 3월 2일

啓曰御營軍三千之數下三道及江原道所在者全 哨徵發矣所抄三千中或不無疾病逃故雜頉之 弊而此則勢難遙度京畿所居軍一百名隨後抄 徵以爲臨時充額之計以此抄記移文京畿監司 使之裝束待令何如答曰依啓

8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4년(1636, 병자) 3월 24일

備邊司啓曰公淸道赴西精兵御營軍牙兵 合一千一百八十七名江原道御營軍牙兵合一百 十四名來二十五日當爲京中逢點令兵曹與御營 廳一處點閱後依前例令戶曹犒饋題給宜當且 聞坡州ㆍ高陽糧餉方乏云令該曹自京倉計日放 糧以送何如答曰依啓

9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5년(1637, 정축) 3월 17일

戶曹啓曰本廳啓辭當初別抄武士設立之時皆 給官馬料太則司僕寺上下元非自本曹給料之 馬而今若開例則決難支堪司僕寺雖無馬 太而以米換給亦無不可題給之意敢啓 答曰姑爲題給後勿爲例

10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5년(1637, 정축) 3월 2일

啓曰亂初因備局啓辭京外大小武臣起復故本 廳所管別抄武士金鼎輝ㆍ劉▼(金+沃)ㆍ黃益興ㆍ李之龍黃 適池遇龍等皆以喪人隨 駕入城終始守堞矣事定之後守堞武士依例付料而 起復之人則別無仍存之令故各自散去此人等則 或父或母妻子盡爲死亡無所於歸今將飢死欲 爲付料連命之齊向

11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5년(1637, 정축) 3월 16일

啓曰當初別抄武士設立之時毋論閑散出身閑良年 少鐃健者抄擇皆給官馬料太則司僕寺上下 今番入守山城時同人等所持戰馬司僕寺 勢難給料故皆自戶曹題給今者應爲受料 之馬只十一匹限司僕寺蘇復間依山城例馬太戶 曹上下何如答曰依啓

1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7년(1639, 기묘) 3월 14일

啓曰丙子之變本廳軍需各樣物貨其時大將完豐 府院君李曙令軍官申儼宋克禮等多給 軍兵專掌次知而經亂之後推之則許多軍需 沒數閪失無一物還納比諸他衙門已極可駭其 中銀子九百三十兩則御營軍處分給事定後 還納事申明分付而申儼宋克禮等別無將令任 意還收稱以埋置經亂後推尋則被

13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9년(1641, 신사) 3월 8일

云云事傳敎矣戊辰四月十四日本廳啓辭內御 營軍限三千加數募得事捧承傳後數年湊 合猶未滿額其已募得人中或聞見才藝行文 推捉或因渠木自募來入故有役似多亦不無 凡庸之人其中本役緊重者都合六百二十九名而更 抄山行砲手及膂力出衆者四百餘名仍存本廳其 餘有役者而凡庸者二百名

14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6년(1648, 무자) 3월 17일

啓曰云云事傳敎矣臣金未知首末考見文書則上 年春夏間大將邊軍物打造時深悶料布之 難辦以火藥五十斤薪鐵二夫里送于洪淸水使處 從便換助之意移文送之的實而本廳別無勒定之 事敢啓答曰知道本廳不爲啓稟如是貽弊極 爲不當邊士紀推考

15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27년(1649, 기축) 3월 24일

備邊司啓曰以前執義金弘郁陳弊啓辭 傳曰令廟堂議處事傳敎矣其曰御營軍旣給 三保立番之時又給料食亂前立番以五六年爲一 次亂後停其番次至有十年不立番者其後愈 歇願屬者愈衆或有圖出行移入屬者厥數旣 多宂雜太半抄出精銳因爲御營軍不才兼能者 竝令汰定他役云者亦不無意見而御

16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1년(1650, 경인) 3월 19일

濟州牧使狀啓內御營廳軍官勒給貿藿執捉私 船徵出格軍滿載渡海是如狀啓據廳啓目粘連 啓下是白有亦御營廳軍官勒給貿藿徵出格軍執捉私 船滿載渡海是如爲白有等以取考前後文書則 去丁亥年分本廳欲措軍物果爲貿藿轉販之 計辦得木同委送軍官爲白有在果本州各衙門 貿販陳弊停廢之擧

17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3년(1652, 임진) 3월 5일

司僕寺啓曰自前禁軍御營將官之授國馬者 雖禾未老而致斃只捧皮張之外別無責罰之事無 識之輩恣意使用不謹養飼以致徑斃者其勢固 然故頃者臣朴遾以此爲慮至達於榻前授馬 而不謹護養致令瘦病之禁軍竝爲決棍前頭新 授國馬者若有如此之弊則施罰輕重事將爲啓 稟定奪矣卽接御營廳移文

18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3년(1652, 임진) 3월 6일

司僕寺啓曰云云事命下矣臣等之意在 於欲防不謹養飼致斃之弊有此仰稟矣 聖敎極爲允當但別抄武士不可自本寺治罪且非刑 杖衙門移送刑曹亦似未妥使本廳從重決棍乎事 係軍政令兵曹授馬禁軍一體治罪乎 傳曰令兵曹治罪可也

19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3년(1652, 임진) 3월 27일

云云是白置有亦御營廳保與京砲保無異一體 束伍云者泛言其槪則誠然而究其實狀則不然 京砲保段如有闕額者則守令拘於解由故隨闕 隨定是白哛不喩爲戶首者在京乙仍于聞見 閑丁這這望呈是白乎等以行會各官使之査正上 送已成規例是白乎旀御營軍保素無自各其官 定給之規而當初給保事

20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4년(1653, 계사) 3월

啓曰本廳新造旗麾旗祭本月十七日子時神武門後 打吹打放砲行祭之意敢啓答曰知道

페이지 이동 : / 371 go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