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일기자료 기사

일기자료 기사 (30)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1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계동(季冬) 12월 큰 달 기축 1일 정해

晴風。 ○行朔祭于靈座。器皿不潔, 而日寒奴輩難於事, 頗有未安之事。○與煇共守廬。服藥不止。○令年孫送餠、桂于延復家, 誤遺司議宅婢而還。 | ○영좌(靈座)에 삭제(朔祭)를 올렸다. 그릇이 정결하지 않았는데, 날이 추워 노(奴) 들이 일하는데 어

2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2일 무자

晴。 ○與煇共守廬。食傷, 未差感寒, 仍之咳嗽痰 逆, 頗不平。服治中湯、守中金丸等藥, 於證不合必矣。朝夕哭、夕奠皆不得參。○李桗氏及相甫兄來訪。桗氏持酒來饋, 少飮猶醉甚困。斗星亦飮後下注, 箕星醉而亂步焉。慶應、壽應等來見, 以烹饅頭持饋, 與相甫等分

3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3일 기축

晴。 ○與煇共守廬。食傷、傷寒證竝侵甚不平, 不得參哭奠。朝服治中湯, 而止守中金丸。且令箕星解說前讀, 則全不全不。怒極撻其背, 遂改習前讀焉。煇察其目, 以謂夜復泄精也, 問之則不得諱。茲欲嚴禁, 披其衾, 令甛之以辱焉。○義同來言“貴年妹犯禁, 請狀免罪

4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4일 경인

晴陰。 ○與煇共守廬。感寒、咳嗽甚苦。不服前藥。無當藥, 不能服治之。哭、奠不得與焉。○崔都事奴三人來謁, 以隨裵範入丈事, 昨日出來云云。○延孝緩來見去。○姑家送彔豆粥來, 行祭奴以謂彔豆醬水粥, 不識理如此。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감기

5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5일 신묘

晴, 小寒節。 ○與煇共守廬。吾氣弱, 感寒、咳嗽、唾膿甚苦, 小食焉。脚冷且痺, 其苦亦甚。盡廢哭, 奠不得參。○延孝緩復來言“朴莫金伊不肯換田, 欲造家”云云, 乃去。○邊起門來見, 欲得簡于州牧減伐氷役云云。辭之。○車輪、軫兄弟送豆泡來。○相甫兄來見。其

6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6일 임진

晴陰。 ○與煇共守廬。吾感寒證不差。頗困不得參哭、奠焉。朝, 服人參順氣散, 汗氣微發。去夜, 心煩不得睡, 徹曉不交睫, 尤困憊焉。○前日城主處作簡, 其人受答來, 則勢不除云云。貴年妹犯禁事也。○金川來去。○相甫兄入京, 借吾馬去。○延復來見。吾說金龜㱓田

7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7일 계사

晴。 ○與煇共守廬。氣羸不參哭、奠焉。服順氣散。○付平康、金化等官了狀, 發送君萬。○龍仁人山守來。得見嫂氏簡, 知柔中來在。今當産朔云云, 求甘草。付送。且求全羅道狀, 聞彦直爲都事, 修狀以付之。奴梁且亦來, 問知恩津等處打作之奇, 多所自食, 可憎可憎。

8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8일 갑오

雨雪。 ○與煇共守廬。氣極疲, 不得寢以經夜, 不參哭、奠。以參湯服守中金丸。早朝, 踏箕星腮, 且抽髮一握, 甚怒不即答所問故也。○公柱氏末女柩發引來, 葬其夫丘。○送守孫于京喩欲往檜庵事于本宅。聞婦不平已久, 不食驚恐云。必氣弱傷慮而然。禮曹正郞張陸之惠正

9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9일 을미

晴陰。 ○與煇共守廬。服守中金丸、順氣酒焉。氣尙困。復朝夕上食。○箕星復泄精眼陷。大責以打, 脫衣以虐, 過於猛, 面與手, 被打傷血。吾之燥暴如是, 蓋甚怒敎令之意每不省故也。○義同來陳“以直見疏”云云。○令煎正氣散。○着馬蹄鐵, 明欲出行也。 | ○휘(煇

10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0일 병신

晴風。 ○曉服正氣散。朝上食後, 哭辭之, 遂行投長 水院權哲同家, 炊食食之。秣馬, 往檜庵, 豆彦家止宿, 以明日見遷墓事也。與朴諫同宿。○煇與箕星守廬所。○梁且早出隨行。○早, 閏山來現。銀孫亦來現, 以推長利事出來云云。問西同妹於屯稱名人在何處, 則初

11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1일 정유

晴。 ○留檜庵。見朴墉氏開墓事。○未時始事, 二更許畢掘, 三更許開槨出棺。棺槨之間, 濕氣積蓄, 可疑也。四更許載轝, 移殯于豆彦家。○吾午時投見掘坎處, 暮下豆彦家臥休, 擾亂不得睡。二更末還上去, 見之露處, 一時下還殯後小寢焉。○監役別坐韓承祚, 加定

12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2일 무술

晴陰乍雪, 夜乍雨。 ○留豆乙彦家。開朴公棺蓋, 考視濕氣, 則盡濡水沾惹, 可愕可愕。遂定改棺之事, 馳報本宅, 使備實棺諸緣。○吾欲還山所, 氣困未能。 | ○두을언(豆乙彦)의 집에 머물렀다. 박(朴) 공의 관 뚜껑을 열어 습기가 있는지 살펴보았

13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3일 을해

晴風猶溫。 ○自檜庵還。與宋某、銀城令朴元良等共行, 歷見權戀氏, 到長水院點心。諸人先入京, 吾隨行。日晡到盧原廬, 拜哭廳, 墓下房休而食之。夜, 知箕兒復爲手淫刻虐, 問欲誰而如是, 則不說。怒甚, 截髮幾半, 打背數十, 督問則宗非云。美色之善淫人心,

14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4일 경자

晴夕陰。三更初許雷一聲, 山雉皆鳴。 ○與煇共守廬。氣困犯染, 不參祀事, 臥調焉。○相甫、謹之等來見去, 慶應、壽應亦來見去。○令年孫入京奉祭物來。○尹貴年妻復來言“欲受州了狀, 除前人犯禁毛冠”云云。不許。○崔繼祖來見, 言“繼宗病極”云云。 | ○휘(煇

15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5일 신축

晴。 ○煇奉祭于靈座如前。子以不齋, 故不參, 兼以氣弱也, 服順氣酒以調。頭重背寒, 節倦困甚。○安訥叱同來受州簡, 及陳地立案次去。○文應來揚義同之惡。○鄭繼祖來見去。○李內隱石來謁。給曆書。○州牧送簡, 明明來會檜庵云云。辭以病。 | ○휘(煇)가 영좌

16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6일 임인

微陰。 ○與煇共守廬。服正氣散調之, 不參祀事。○送守孫取米于京。○濟叟兄送惠新曆一。○入京處事, 過忌祭事計定。○安訥叱同陳地立案受來。○京中藏氷云云。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정기산(正氣散)을 먹고 조리하느라 제사에 불참했다. ○수

17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7일 계묘

風寒。 ○始參朝上食。煇守廬。吾拜哭以辭, 遂入京, 風烈馬驚, 幾墜之。促鞭入洛, 冒風似有不平之加。留于苧洞喪次。○付褥被于守永。賣柴馬持來。○金禹鼎來見, 求求訓導簡。夕通伯順令公, 則不答也。○暮, 濟翁兄來見去。○有山出來, 偕入。 | ○비로소 아

18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8일 갑진

晴寒。 ○曉, 召朴元良, 則朝早與朴諫氏偕到, 今出檜庵云云。以改棺權宜法抄書者, 付之。明明, 將改朴墉氏棺也。○簡問安繼孫處棺板事, 則時不整齊云云。○權士遇處簡告金禹鼎訓導, 則不得云云, 當暮來見而去。朴參奉尋士遇來去。○借申珽《家禮儀節》, 抄錄遷

19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19일 을사

微陰。 ○曉, 送遷葬禮抄記于本宅, 俾傳山所。○延安叔母氏伻婢問之。且喩義同之釜在行祭幕云, 此公物也, 勿還義同云云。○食後, 投謁本宅, 叔母不平在房, 對之。問檜菴奇別, 甚憂動尸之難解。白勿憂事。適朴鶴瑞來在外, 辭出見此人。乃下見姊氏, 敍之, 留

20 묵재일기(默齋日記) 1535년 12월 20일 병오

大寒節, 晴。 ○留苧洞。當午, 金禹鼎來見去。○推還朴仁誠處《參同契》, 李說之處《難經》來。○暮, 投寓西小門家內房避寒也。昏, 高自慶來敍去。 | ○저동(苧洞)에 머물렀다. 정오에 김우정(金禹鼎)이 다녀갔다. ○박인성(朴仁誠)에게 《참동계(參

페이지 이동 : / 2 go
1 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