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군영등록 기사

군영등록 기사 (180)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1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인조 16년(1638, 무인) 4월 3일

啓曰今番山城扈從軍兵中御營軍登科者七百 六十六名體府牙兵出身者二十五名合以計之則 八百十一名而依備局事目稱以別隊仍屬本廳御 營軍立番時當爲一體立番而但京畿及京中 或有妻子專家被擄托身無依其數先到者十 名呼悶於本廳曰旣無家屬又無自手可爲之 事勢將飢死依都監例入番

2 1624~1660년 어영청도등록(御營廳都謄錄) 효종 5년(1654, 갑오) 4월 3일

云云丙戌年間經亂未久本廳軍兵旣無恒留之擧 軍官輩亦無任事服勞之事故其時減去二十員之料 只給四十員單料是白有在果卽今事勢與前有 異上番千名之軍輪替恒留渠等奔走之勞果如 所訴依前六十員准數題給料米爲白良置一朔加 下之米不過八石是白置似當依願施行是白乎矣自 下不敢擅

3 1624~1771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숙종 18년(1692, 임신) 4월 3일

◇引見入侍時 領議政權大運 所 啓扈衛廳軍官雖曰不緊例有 闕內 入直之規而所受之料甚爲薄略古規則每人受食十斗米頃因年 凶各減二斗只給八斗近來諸司員役或多復舊此輩料食尙未得 復舊不無稱寃之事矣 ◇上曰遞兒幾何耶 左議政 曰逐朔試記看畵付料而其數或至五十餘 人或不

4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현종 13년(1672, 임자) 4월 3일

壬子四月初三日備局捧甘 京畿監司吳狀啓道內列邑中富平陽川連 年失稔諸般身役米布令年應捧上年未收一 時責徵民皆罔措是如爲白臥乎所誠是實狀是 白置與稍實之邑同責其捧實爲冤問令廟堂 叅酌處置事據備局回啓內觀此狀啓則富平 陽川兩色以上年凶荒特甚之故子遺殘氓不能 保存之

5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20년(1694, 갑술) 4월 3일

四月初三日 院啓大將黃姑先罷職事

6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20년(1694, 갑술) 4월 3일

同日 政院啓曰御營大將有闕而因大臣在外 擬薦未易姑令訓鍊大將摠察事分付 事命下矣訓鍊大將申卽爲牌招命 召傳授之意敢啓 答曰知道 備忘記左贊叅尹御營大將除授 政院啓曰左叅贊尹爲御營大將事 命下矣尹方在京畿安山地將稟定 任不可暫曠速爲上來察任事下謝何如 傳曰允

7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30년(1704, 갑신) 4월 3일

甲申四月初三日 啓曰今此浮石所工匠飯炊木依定奪德興府院君 山所近處蟲損木斫伐事出番軍兵一百名領將校 出送而程道稍遠經宿入來之意敢啓允

8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30년(1704, 갑신) 4월 3일

同日 訓鍊都監啓曰兩局勸武軍官春秋試取事 曾有定奪而連有事故不得試取矣勸武軍 官應試之人今已來待今月內無故日設行之意敢啓允

9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32년(1706, 병술) 4월 3일

丙戌四月初三日 啓曰本廳別抄武士別武七及別破陣京案標下軍 兵春等試才射砲用劍賞格從分數多寡以本廳所 儲木綿面給後別單書入之意敢啓

10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32년(1706, 병술) 4월 3일

丙戌四月初三日 今四月初二日江原道監賑御史吳命峻請對引見 入侍時監賑御史吳命峻所啓小臣敢爲請對極涉 惶恐而東民切急之事欲有仰達者故敢此請對矣 上曰盡爲陳達可也吳命峻曰久遠身布還上連値凶 荒不得收捧矣臣問于賑恤廳堂上則戊寅己卯兩 年條身布則曾因閔鎭厚所啓已爲蕩減

11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39년(1713, 계사) 4월 3일

癸巳四月初三日 今三月三十日回還冬至正副使書狀官留待引見時正使金 所啓使行到彼後多有出歛需用之事故各衙門銀貨貸去 矣行中員譯若以白絲貿來則可以取嬴還償而今番則白 絲絶種渠輩願貿雜貨以來販賣還償有異當初定奪 本意而事勢如此不得不許之矣分付戶曹及各衙門限二周年 徵

12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숙종 42년(1716, 병신) 4월 3일

丙申四月初三日 前部前司後哨官望李德禧邊將代 出身金星得

13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1년(1725, 을사) 4월 3일

乙巳四月初三日 啓曰本廳 中軍李汝玉老病日甚不得已改差其代今 當差出而軍門旣將爲任不輕當品中絶無可今之 人自前如此之時有以堂上 閫帥中負名望者變通陞資 之規而新除授 慶尙右兵使李載恒人望實合此任故 問議于大臣則亦以爲宜依曾前陞差之 規例李載恒 陞品差下 中軍何

14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18년(1742, 임술) 4월 3일

壬戌四月初三日 箭竹再次請得報備局題辭內湖西竹二十浮湖南 竹十五浮加上下向事

15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21년(1745, 을축) 4월 3일

乙丑四月初三日 啓曰今此本廳中旬時勸武軍官柳鎭普六兩一矢一百四十八步 二矢一百五十二步三矢一百五十七步入格而本廳則遠射者 稀罕未有前例故取考禁衛勞謄錄則六兩一矢一百五 十步兩失一百四十步入格而特蒙直赴之典者至於七八 之多又問兵曹見其回移則回移內以爲禁衛營下番

16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25년(1749, 기사) 4월 3일

己巳四月初三日 中軍望具善行遷轉代 前兵使趙東漸

17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28년(1752, 임신) 4월 3일

壬申四月初三日 墓所都監啓曰丁字閣齋室所入木物今方收聚而數日內 運入墓所然後可以始役以數少車子決無及期輸運之 路在前如此之時有三軍下馬出役之例矣今亦依此例 各十五匠限畢段運給糧料待令之意分付何如允

18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32년(1756, 병자) 4월 3일

丙子四月初三日 兵曹達曰因尙衣院牒報踰越宮墻女人令攸司嚴査 定罪事才已草記矣近來巡邏不嚴致有此無前之事 極爲驚駭字內軍門別巡邏當該牌將及捕校等決棍汰 去此後各軍門及捕廳巡邏等事別爲嚴飭之意分付何如 依 丙子四月初四日 左部左司左哨官望柳達源有頉代前哨官李長熽

19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41년(1765, 을유) 4월 3일

乙酉四月初三日 軍色從事官望未差代副校理尹承烈還啓下

20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영조 43년(1767, 정해) 4월 3일

丁亥四月初三日備局甘結以無頉報備局 右甘結各部字內一自分授三軍門之後禁松之節尤爲切 意擧行而似聞樵牧及無賴之輩不有法禁甚至於城內松 木恣意犯斫漸就稀疎固已萬萬寒心而部內掘土亦有禁 令則不但此不能禁焉京山斲石之患在在皆然石旣斲焉則 沙土崩潰卽其勢也從前禁令除良當

페이지 이동 : / 9 go
1 2 3 4 5 6 7 8 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