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군영등록 기사

군영등록 기사 (410)

· 정렬 : · 정렬방식: · 목록개수:
번호 자료명 기사명 본문
21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3년(1837, 정유) 1월 29일

同日 三番騎士將望慶恒運改差代 ○前五衛將崔匡植李浩文李一兢

22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3년(1837, 정유) 1월 30일

丁酉正月三十日 守令可合三人 社稷署令李敏翼 前縣令李基恢 繕工監假監役任廉 邊將可合三人 嘉義朴泰勲 折衝朴煥球 折衝史重鎭

23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일

道光十八年戊戌正月初一日御營 禮曹啓曰大王大妃殿寶齡恰躋五旬祗告廟社頒敎中外 此誠國家莫大之慶而設科取士乃是應行之事今番慶科以 何科設行而以何間擇吉乎敢稟 傳曰除初試庭試磨鍊而日子以四月擇入

24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2일

戊戌正月初二日 禮曹啓曰以大王大妃殿寶齡五旬慶科取稟草記傳曰除 初試庭試磨鍊而日字以四月擇入事命下矣在前庭試除初 試設行時有卽日放榜之例亦有擇日放榜之例今番則何以爲 之乎敢稟 傳曰卽日放榜

25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2일

同日 禮曹啓曰以大王大妃殿寶齡五旬慶科庭試卽日放榜擇 日放榜取稟草記傳曰卽日放榜事命下矣文武科庭試吉 日令日官推擇則來四月十七日爲吉云以此日定行何如 傳曰允

26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3일

戊戌正月初三日 兵曹啓曰大王大妃殿寶齡五旬慶科庭試文武科來四月十 七日設行事自禮曹推擇啓下矣武科則例有初試吉日令日官 推擇則來四月初三日爲吉云以此日擧行而取考謄錄則在前 慶科庭試取人之數多寡不同或取三四百人或取五六百人今 番則取幾人乎敢稟 傳曰取四百人

27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4일

戊戌正月初四日兵曹 來四月初三日慶科庭試武科初試規矩取二技落點 鐵箭三矢一百五十步二矢 貫革五矢一百三十步一巡三中 柳葉箭五矢一百二十步一巡三中

28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6일

戊戌正月初六日 啓曰本廳千摠韓義植身病甚重勢難察任改差何如 右部千摠望韓義植改差代 ○前僉使趙存奎前府使李惟穆柳亮源

29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1일

戊戌正月十一日 今正月初二日 傳曰月正元日旣伸頌祝之忱此誠千一之休也其在同慶之道合有推 廣之擧貢人舊遺在三千石市民搖役限一朔伴人懸房贖限十日 諸道舊還最久條五萬石竝蕩減事令廟堂行會 備邊司云云奉審施行爲有矣邦休川至景運泰回喜溢宮闈 惟均朝野此誠我東方莫大之慶而

30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1일

同日 啓曰本廳騎士別將申性浩身病甚重勢難察任改差何如 騎士別將望申性浩改差代 ○前水使鄭日永金相宇柳文儉

31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1일

同日 守令可合三人 徽慶園叅奉洪鍾茂 廣興倉奉事金蘷淳 刑曹佐郞趙奎年 邊將可合三人 嘉善申哲禧 折衝崔一浩 出身金養信

32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7일

戊戌正月十七日 備邊司啓曰卽見京畿監司李光正狀啓則備陳陽智懸凋弊 難保之狀仍請本邑流絶戶還穀三千九百十九石零吏奴逋六千七百五 十五石零合一萬六百七十四石零限十五年除耗排捧丙申以前未納大同 米五百六十石零田稅米一百六十六石零太一百二十石零竝許代錢排納各 衙門各年

33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7일

同日 大王大妃殿傳曰觀此回啓廟堂之如是爲言實爲允當而自上旣 聞之後亦豈可視若尋常不爲陽民地乎軍錢及還穀竝折半 蕩減其餘依此年限排捧兩稅未收代錢亦爲限三年排納之 意分付廟堂

34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9일

戊戌正月十九日 以嶺南晉州番界首李敬膺等所志據備邊司甘結內以無邸邑 事勿侵界首載在節目兺除良前後申飭不啻截嚴則各司之 一向弁髦弊復如前者誠萬萬可駭渠輩之渙散難保姑捨其 在上令下行之道豈容如是玩愒是旀抑亦爲官長者猶不念法意 與事體一味抛漫乎言念及此尤極寒心謹當隨

35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19일

戊戌正月十九日 訓鍊都監啓曰去三日建陽門入直把摠柳永魯以食代軍卒 晩時等待而點考時掌務軍之不卽現發束縛露脛跪坐瓦礫有 駭聽聞闕點軍掩置之罪自有當律而法外施刑擧措駭妄爲 先汰去之意敢啓

36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4년(1838, 무술) 1월 27일

戊戌正月二十七日 騎士別將望鄭日永外任代 ○前水使南錫圭前水使柳文儉前水使金相宇

37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5년(1839, 기해) 1월 1일

道光十九年己亥正月初一日 禮曹啓曰大王大妃殿寶齡望六祗告廟社頒敎中外此 誠國家莫大之慶而設科取士乃是應行之事今番慶科以何科 設行而以何間擇吉乎敢稟 傳曰有初試庭試磨鍊四月念間擇入

38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5년(1839, 기해) 1월 1일

同日 備邊司啓曰昨日秋曹草記有論罷捕將之擧矣該曹事體不 得不然而旣係微細或涉過當且捕將重任有難數遞前捕將金泥峴 姑爲仍任何如 傳曰允

39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5년(1839, 기해) 1월 2일

己亥正月初二日 禮曹啓曰以大王大妃殿寶齡望六慶科取稟草記 傳曰有初試庭試磨鍊四月念間擇入事命下矣初試額數取以幾人而 且考謄錄則增廣庭試等初試入格人更試一經講事曾有己卯年定式 似當依此磨鍊而其後庚辰丁酉庭試則試講丁亥乙未增廣則或因 特旨或因本曹草記除講矣今番則何

40 1625~1884년 어영청등록(御營廳謄錄) 헌종 5년(1839, 기해) 1월 3일

己亥正月初三日 禮曹啓曰大王大妃殿寶齡望六慶科庭試文科初試額數及試 講取稟草記 傳曰取三百人講經置之事命下矣令日官推擇則文科初試來四月十一 日文武科殿試同月二十日放榜同月二十六日卯時爲吉云以此日時定行 而庭試時武科初試之鄕試設行旣有新式武科初試日子則令兵 曹推

페이지 이동 : / 21 go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