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택일기(小宅日記)

닫기 자료열람

· 기본정보

닫기

분류

·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 내용분류 개인-생활-일기
· 사부분류 사부-정서류-일기
· 시대분류 조선시대

기관분류기호

· 마이크로필름 MF35-008146~48

작성주체 - 인물

역할 인명 생몰년 신분
작성자 박득녕(朴得寧) 1808~1886
작성자 박주대(朴周大) 1836~1912
작성자 박면진(朴冕鎭) 1862~1928
작성자 박희수(朴熙洙) 1895~1951

형태사항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20책
· 재질 종이
· 표기문자 한자

비고

등록문화재:보물 제1008호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咸陽朴氏 正郞公派 門中 典籍)
간행사항: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예천 맛질 朴氏家 日記』 2~6, 2004~2008.

· 안내정보

닫기

내용

정의
1834년부터 1949년까지 예천 용문면 맛질 함양박씨가 소택의 인물들이 대대로 작성한 생활일기

· 상세정보

닫기

내용

1834년부터 1949년까지 예천 용문면 맛질 함양박씨가 소택의 인물들이 대대로 작성한 생활일기
· 표제
· 내제
· 판심제
· 서근제
예천 맛질의 함양박씨가는 처가 甘泉文氏家를 따라 금당실로 입향한 朴從麟(1496~1553)의 후손들이다. 박종린의 차자 朴芝(?~1593)의 5세손 朴世柱(1652~1727)가 맛질에 살던 안동권씨의 사위가 되면서 이곳에 정착하였다. 맛질 박씨가 일기자료는 9세손 朴漢光(1770~1834)의 장자 朴顯寧(1794~1878)계와 차자 朴得寧(1808~1886)계 인물들이 대대로 작성한 것이다. 장자계열의 일기, 그 방계, 차자계열의 일기가 전하므로 편의상 大宅, 大宅傍系, 小宅으로 구분하였다.
맛질 박씨가 일기는 책력에 일상사와 지출내역을 기록한 생활일기이자 가계출납부 성격의 자료로, 한 세기 이상 꾸준히 작성되었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가 뛰어나다. 그 가운데 소택의 기록이 가장 풍부하여, 1834년부터 1949년까지 4대 115년간에 걸쳐 작성되었다. 박득녕, 朴周大(1836~1912), 朴冕鎭(1862~1928), 朴熙洙(1895~1951)가 그 저자들이다. 모두 박득녕의 장자, 장손들이다.
소택의 일기는 1935년부터 ‘渚上日月’이라고 명명되었다. 박씨가가 살고 있는 大渚里에서 따온 이름이다. 소택의 경우 초기 일상사와 지출내역 등이 함께 기록되다가 1853년부터는 별도의 책자로 분리되었다. 이 지출장부는 ‘日用記’ 성격이라 할 수 있으므로, 오늘날 저상일월과 짝을 맞추어 ‘渚上日用’으로 불리워진다. 대택의 일기는 그보다 늦은 1869년부터 1933년까지, 대택방계는 1897년부터 1950년까지 현전한다. 소택과 달리 지출기록을 분리하지 않아 내용은 오히려 일용기에 가깝다.
박득녕의 아들 박주대가 1895년에 쓴 서문에서도 소택일기의 시작이 1834년임이 확인된다. 다만 그해 득녕이 일시 출타하여 잠시나마 그 부친이 기록을 담당한 적이 있고, 득녕의 병환으로 1868년부터는 아들 주대가 때때로 대신하였으며 병이 깊어진 1881년부터는 완전히 대신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대대로 성실하게 일기와 일용기를 작성한 것은 단순히 개인의 관심이나 취향 때문이 아니라 가사를 통할하는 가장의 책무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날씨, 농사와 작황, 가계의 수지, 손님접대, 길흉사, 촌락과 고을의 사건들, 시장 간의 소문 등 다양한 기록을 남기고 있어 19세기 중반부터 해방 전후에 이르기까지의 농촌생활사 자료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촌락에서 보고 듣고 체험한 한말의 동학운동, 의병운동, 일제강점기의 생활상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장기간 작성된 가계지출기록과 물가동향은 근대 농촌 경제생활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박성수 역해, 『渚上日月』 상ㆍ하, 서울신문사, 1993.
안병직ㆍ이영훈 편저, 『맛질의 농민들』, 일조각, 2001.
이영훈, 「예천군 용문면 대저리 박씨가 고문헌 해제」, 『예천 맛질 朴氏家 日記』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박인호, 「예천 함양 박씨 동원공파 고문헌의 성격과 내용」, 『조선사연구』 19, 조선사연구회, 2010.

집필자

권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