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0~1806년 호위청등록(扈衛廳謄錄)

닫기 자료열람

· 기본정보

닫기

분류

· 형식분류 고서-등록
·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사부분류 사부-정서류-군정(軍政)
· 시대분류 조선시대
· 주제분류 일지류
· 기관분류 호위청
· 왕대분류 顯宗, 肅宗, 景宗, 英祖, 正祖, 純祖

기관분류기호

· 청구기호 K2-3390
· 마이크로필름 MF35-000851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편자 호위청(扈衛廳)

형태사항

· 크기(cm) 34. X 23.2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不分卷 5冊
· 판식 無郭 無絲欄 無版心 10行 21字
· 재질 닥종이[楮紙]
· 표기문자 한자
· 인장 1 (扈衛廳二)
· 서명

비고

해제 출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장서각한국본해제』 사부14,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 상세정보

닫기

내용

1660년(헌종1) 8월부터 1806년(순조6) 12월까지 조선 후기 국왕의 호위부대였던 扈衛廳의 활동 내용을 정리한 문서이다.
· 표제扈衛廳謄錄
· 내제
· 판심제
· 서근제扈衛廳謄錄
【서지사항】
扈衛廳謄錄. 扈衛廳 編. 顯宗 1(1660.08) - 純祖 6(1806.12) 寫. 不分卷 5冊. 筆寫本. 線裝 34.0~37.0 × 23.2~25.2 cm
표제와 서근제는 ‘扈衛廳謄錄’이며, 총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색 표지의 線裝本으로, 斜格卍字 문양이 있다. 표지의 좌측 상단에 표제와 책자가, 표지 우측 상단에 王代와 干支가, 총 책 수 표시 부분에는 ‘共五’란 글이 기재되어 있다. 서근에는 서근제 외에 ‘一廳’이란 글과 왕대, 책차가 기재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일정치 않으나, 권3이 가장 크다. 본문의 필사에는 無郭, 無絲欄, 無版心의 백지를 사용하였다. 본문 곳곳에 내용을 오려내고, 뒤에서 종이를 덧대어 수정한 흔적이 나타나며, 본문 중 간혹 첨지가 끼워져 있는 경우도 있다. 기록 곳곳에 검은색으로 ‘○’ 또는 ‘□’로 표시한 부분이 다수 나타난다. 필체로 미루어 볼 때 여러 사람이 번갈아가며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제2책의 권미에 원형의 ‘扈衛廳二’를, 제4책의 본문 곳곳에 정방형의 인장이 다수 날인되어 있다.
【체제 및 내용】
扈衛廳은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의 주역이었던, 金瑬ㆍ李貴 등이 궁궐의 宿衛가 허술하다는 이유로 새로운 군영 설치를 제안하면서 설치되었다. 설치 당시 호위청은 반정에 공로가 가장 컸던 李曙ㆍ金瑬ㆍ李貴ㆍ申景禛 등을 四大將으로 임명하고, 각각 군관 100명씩 거느리게 하였다. 곧이어 호위청의 체제는 4대장 6당상제로 보완되었고, 대장 한 사람이 인솔하는 군관의 수는 140명, 당상은 80명으로 증액되어 총 1,040명의 군관이 소속되었다.
『扈衛廳謄錄』을 통해 효종 대 이후 실제 군관의 수를 살펴보면, 1675년(숙종 1) 444명으로 가장 적었고, 1691년(숙종 17) 최대 2,771명에 이르렀다. 반정 후 급박한 상황에서 설치된 군영이었지만, 호위청은 갑오개혁으로 군제가 개편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호위청이 대규모 군관을 통솔하며, 국왕을 경호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호위청의 운영은 왕조 정부에게 중요한 관리 대상이었다. 이에 호위청에서는 주요 업무 내용에 대해 기록을 넘겼는데, 이것이 바로 『扈衛廳謄錄』이다. 장서각에는 K2-3389ㆍK2-3390ㆍK2-3391ㆍK2-3392ㆍK2-3393ㆍK2-3394 등 총 6종의 『扈衛廳謄錄』을 소장하고 있다. 각각의 등록이 기록하고 있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호위청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6종의 『호위청등록』 전체를 폭넓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서는 총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책의 시기를 살펴보면, 제1책은 1660년(현종 1) 8월부터 1717년(숙종 43) 3월까지, 제2책은 1717년(숙종 43) 3월부터 1750년(영조 26) 7월까지, 제3책은 1754년(영조 30) 12월부터 1776년(영조 52) 2월까지, 제4책은 1776년(영조 52) 3월부터 1780년(정조 4) 12월까지, 제5책은 1800년(정조 24) 1월부터 1806년(순조 6) 12월까지의 내용을 각각 담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에는 호위청 소속의 別將과 留都大將 등에 대한 인사, 국왕의 幸行이나 외부 擧動 시의 경호 일정과 방법에 관한 일, 군관 확충과 재정 마련 문제 등이 포함되었다. 호위청의 운영 전반에 대해 정리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 호위청의 업무 내용과 기능, 군관의 수, 재정 문제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扈衛廳謄錄』(K2-3391~3394)
최효식, 『朝鮮後期 軍制史硏究』, 신서원, 1995.
최효식, 「扈衛廳의 設置와 그 組織編制」, 『용암차문섭교수화갑기념논총 조선시대사연구』,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9.

집필자

임성수(林性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