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4~1880년 어영집사청사례통고(御營執事廳事例通攷)

닫기 자료열람

· 기본정보

닫기

분류

· 형식분류 고서-등록
· 내용분류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사부분류 사부-정서류-군정(軍政)
· 시대분류 조선시대
· 주제분류 운영방침 및 규정집
· 기관분류 어영청
· 왕대분류 仁祖, 孝宗, 顯宗, 肅宗, 景宗, 英祖, 正祖, 純祖, 憲宗, 哲宗, 高宗

기관분류기호

· 청구기호 K2-3342
· 마이크로필름 MF35-000696

작성주체 - 기관단체

역할 단체/기관명 담당자 구분
편자 어영청(御營廳)

형태사항

· 크기(cm) 37.1 X 24.4
· 판본 필사본(筆寫本)
· 장정 선장(線裝)
· 수량 1冊
· 판식 四周單邊 半郭29.1 × 19.6cm,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10行25字 印札空冊紙
· 표기문자 한자
· 인장 1 (藏書閣印)
· 서명

비고

해제 출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장서각한국본해제』 사부13,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5.

· 상세정보

닫기

내용

1624년(仁祖2)에서 1880년(高宗17)까지 御營執事廳의 내용을 事例通考한 책이다.
· 표제御營執事廳事例通攷
· 내제
· 판심제
· 서근제御營廳事例
【서지사항】
御營執事廳事例通攷. 御營執事廳編. 高宗 17(1880)以後 寫. 1冊. 筆寫本. 線裝 37.1 × 24.4cm, 半郭 29.1 × 19.6cm
권수제는 ‘御營執事廳事例通攷’이고 표지 서명과 서근제는 ‘御營廳事例’이다. 표지 서명 하단에는 단권 표시인 ‘單’이 묵서되었다. 표지 우측 상단에는 ‘自仁祖 甲子(1624) 天啓 至太王 庚辰(1880)五月’이라고 기재되었다. 四周單邊에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인 인찰공책지에 본문의 내용이 필사되었다. 행자수는 10行 25字로 주쌍행이다. 목록이 있는 면에 ‘藏書閣印’이 날인되었다.
【체제 및 내용】
본서는 1624년 御營廳 創設부터 시작하여 역대 왕조의 事例集으로서 1880년까지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創始는 仁祖 때에 처음으로 御營使를 설치하여 1628년(인조 6), 1641년(인조 19), 1643년(인조 21), 1652년(효종 3), 1706년(숙종 32)까지 御營軍 모집 방법, 군사 훈련, 인원, 편제 등을 설명하고 있다.
鄕軍制는 군사 편제에 대한 내용으로 4년마다 올라와서 두 달씩 番을 서는 방식, 菅制, 將官, 將校는 어영청에 소속된 관직과 인원을 기재하고 있다.
馬軍은 1750년(영조 26)에 창시되었다. 京標下軍, 無料軍, 員役, 兼管邑, 軍制(鄕軍保總數) 등은 구성 관원과 인원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領軍式, 軍案式, 取才陞差式, 馬點, 京五哨練習式, 私習式, 射講式, 試藝式, 隨駕留陣式, 舟師擧行式, 分授各字內, 字內壇廟, 捉虎分授邑, 摘奸式, 褒貶式, 公廨間數, 植木所, 養魚所, 舟車, 卜定式, 旗制式, 停番式, 闕內掃雪, 諸屯, 財用, 新定式, 宮城, 三軍府規則, 前排式, 昌德宮墻外巡察新定式, 營門所在各項冊名, 將官將校員役軍總實數及放料奉足朔下上上笏記 등이 실려 있다. 여기서 ‘式’은 일정한 규칙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어영청의 군사 훈련과 관련된 대표적인 것으로는 사강식과 시예식을 들 수 있다.
사강식은 장관사강, 교련관사강, 별군관사강, 별무사사강 등이 있으며, 시예식은 상시재, 중순 별시사, 기사도시, 관무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영청에 관한 여러 가지의 군사 조목 관련 규칙이 정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성 및 가치】
조선 후기 군제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이다. 조선 후기 삼군문의 하나인 御營廳에 대한 전반적인 군사 편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곽낙현